한 화면을 구성하는 뷰들에 서로 제약을 주는 레이아웃. 컨스트레인트 레이아웃을 자주 쓰는 가장 큰 이유는 '다양한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반응형 UI를 쉽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 또 중첩된 레이아웃을 사용하지 않고도 크고 복잡한 레이아웃을 만들 수 있어 성능면에서 유리함
1) 기본 속성
👾 컨스트레인트 레이아웃에서 자식 뷰의 위치를 정의하려면 자식 뷰의 수직 / 수평 방향에 제약 조건을 각각 하나 이상 추가 👾 자식 뷰에 아무런 제약도 추가하지 않으면 왼쪽 상단에 배치. 컨스트레인트 레이아웃에서 자주 쓰는 속성은 다음과 같음.
app:layout_constraint[내 방향]_to[기준 뷰 방향]Of = "[기준 뷰 ID or parent]"
👾 자식 뷰 사이에 여백을 정해줄 때 레이아웃에서는 layout_margin 속성을 사용 👾 리니어 레이아웃과 상대적 레이아웃에서는 별다른 고려 없이 사용해도 되지만, 컨스트레인드 레이아웃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해당 방향으로 제약이 존재해야 마진값이 적용되는 규칙이 있음
예를 들면 위쪽 방향으로 여백을 100dp 만큼 주고 싶을 경우, 위쪽 방향에 제약이 없는 상태에서 android:layout_marginTop = "100dp"를 하면 적용이 되지 않음. 그러므로 반드시 android:layout_constraintTop_toTopOf="parent"와 같은 위쪽 방향에 제약을 추가할 수 있는 속성을 추가해야 함.
3) match_constaint 속성
컨스트레인트 레이아웃을 이용해 앱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다 보면 layout_width와 layout_height 속성에서 빈번하게 0dp 값을 보게 됨 그 뷰의 너비나 높이가 0dp라는 것은 match_constraint와 같음. match_parent가 부모 레이아웃 크기에 뷰 크기를 맞춘다는 것이라 면 match_constraint는 제약에 뷰 크기를 맞춤.
📍 각각의 마커에 해당하는 클래스에 ClusterItem을 상속받고 코드를 추가해야 함 📍 마커에 해당하는 클래스가 Row이기 때문에 Row 클래스에서 ClusterItem을 상속받은 후 반환하는 메서드와 부가 정보를 반환하는 메서드들을 구현
data class Row(
val ADRES: String,
val CODE_VALUE: String,
val FDRM_CLOSE_DATE: String,
val GU_CODE: String,
val HMPG_URL: String,
val LBRRY_NAME: String,
val LBRRY_SEQ_NO: String,
val LBRRY_SE_NAME: String,
val OP_TIME: String,
val TEL_NO: String,
val XCNTS: String,
val YDNTS: String
): ClusterItem {
override fun getPosition(): LatLng { // 개별 마커가 표시될 좌표 반환
return LatLng(XCNTS.toDouble(), YDNTS.toDouble())
}
override fun getTitle(): String? { // 마커를 클릭했을 때 나타나는 타이틀
return LBRRY_NAME
}
override fun getSnippet(): String? { // 마커를 클릭했을 때 나타나는 서브타이틀
return ADRES
}
override fun hashCode(): Int { // id 에 해당하는 유일한 값을 Int 로 반환
return LBRRY_SEQ_NO.toInt()
}
}
✓ 앱이 실행되고 지도에 마커가 표시될 때 안드로이드는 Row 클래스의 getPosition() 메서드를 호출해서 해당 마커의 좌표를 계산
✓ 특정한 범위 안에 있는 마커들을 묶어서 하나의 마커로 만들고, 몇 개의 마커가 표현되어 있는지 숫자로 표시해 주는 것을 가르켜 클러스터링이라 함
3. 클러스터 매니저
클러스터링은 클러스터 매니저 ClusterManager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음 클러스터 매니저를 액티비티에 선언해두고, 마커를 표시하는 코드에서 클러스터 매니저에 추가하는 코드를 작성
1) 클러스터 매니저 선언하기
📍 MapsActivity 클래스 안에 clusterManager 프로퍼티를 선언
class MapsActivity : AppCompatActivity(), OnMapReadyCallback {
private lateinit var mMap: GoogleMap
private lateinit var binding: ActivityMapsBinding
private lateinit var clusterManager: ClusterManager<Row>
2) 클러스터 매니저 초기화
📍 clusterManager를 초기화하고 필요한 설정을 함. 마커를 표시하기 전에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Map이 생성된 직후인 onMapReady()에서 설정하는 것이 좋음
override fun onMapReady(googleMap: GoogleMap) {
mMap = googleMap
// 클러스터 매니저 세팅
clusterManager = ClusterManager(this, mMap)
mMap.setOnCameraIdleListener(clusterManager) // 화면을 이동 후 멈췄을 때 설정
mMap.setOnMarkerClickListener(clusterManager) // 마커 클릭 설정
loadLibrary()
}
3) 클러스터 매니저에 데이터 추가하기
📍 반복문에서 마커를 생성하는 코드를 삭제하고 clusterManager에 직접 데이터를 추가
private fun showLibrary(libraryResponse: LibraryResponse) {
val latLngBounds = LatLngBounds.builder()
for (lib in libraryResponse.SeoulPublicLibraryInfo.row) {
// 기존 마커 세팅코드는 삭제하고 클러스터 메니저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코드만 넣어줌.
clusterManager.addItem(lib)
// 첫 화면에 보여줄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 아래 코드 두 줄은 남겨둠.
val position = LatLng(lib.XCNTS.toDouble(),lib.YDNTS.toDouble())
latLngBounds.include(position)
}
val bounds = latLngBounds.build()
val padding = 0
val updated = CameraUpdateFactory.newLatLngBounds(bounds,padding)
mMap.moveCamera(updated)
}
웹 브라우저에 주소를 요청해서 받은 json 샘플 데이터로 Kotlin 데이터 클래스를 생성
1) 레트로핏 관련 파일만 모아둘 패키지를 생성
2) data 클래스 생성
retrofit 패키지를 우클릭 - [New] - [Kotlin data class File from JSON] 을 클릭
복사한 JSON 데이터를 그대로 넣어줌. 클래스의 이름을 LibraryResponse 로 지정
[Enable Inner Class Model]가 체크 해제된 것을 확인
3) 레트로핏 클래스 작성
retrofit 패키지에 RetrofitConnection 클래스 생성
레트로핏 객체를 생성하는 getInstance() 메서드 생성
class RetrofitConnection {
// 객체를 하나만 생성하는 싱글턴 패턴을 적용.
companion object {
// API 서버의 주소가 BASE_URL이 돰.
private const val BASE_URL = "http://openapi.seoul.go.kr:8088/"
private var INSTANCE: Retrofit? = null
fun getInstance(): Retrofit {
if (INSTANCE == null) {
INSTANCE = Retrofit.Builder()
.baseUrl(BASE_URL)
.addConverterFactory(GsonConverterFactory.create())
.build()
}
return INSTANCE!!
}
}
}
✓ 컨버퍼 팩토리는 서버에서 온 JSON 응답을 데이터 클래스 객체로 변환. Gson이라는 레트로핏 기본 컨버터 팩토리를 사용
4) HTTP 메서드를 정의해놓은 인터페이스 작성
🚀 HTTP 메서드를 작성해 레트로핏이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도록 작업. 🚀 인터페이스를 작성하면 레트로핏 라이브러리가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API 엔드포인트들을 자동으로 구현
① 인터페이스를 추가
- LibraryService 인터페이스 생성
② 인터페이스를 작성 - LibraryService 인터페이스를 작성. 필요한 API는 GET 메서드.
interface LibraryService {
@GET("{apiKey}/json/SeoulPublicLibraryInfo/1/200/")
fun getLibrary(@Path("apiKey") key: String): Call<LibraryResponse>
}
5) 레트로핏으로 데이터 불러오기
🚀 작업한 인터페이스를 적용하고 데이터를 불러오는 코드를 작성
① MapActivity에 onMapReady() 아래에 loadLibrary() 메서드 작성
override fun onMapReady(googleMap: GoogleMap) {
mMap = googleMap
val sydney = LatLng(-34.0, 151.0)
mMap.addMarker(MarkerOptions().position(sydney).title("Marker in Sydney"))
mMap.moveCamera(CameraUpdateFactory.newLatLng(sydney))
loadLibrary()
}
private fun loadLibrary() {
}
② 정의한 인터페이스를 실행 가능한 객체로 변환
// 레트로핏 객체를 이용하면 LibraryService 인터페이스 구현체를 가져올 수 있음
val retrofitAPI = RetrofitConnection.getInstance().create(LibraryService::class.java)
③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getLibrary() 메서드에 api키를 입력하고, enqueue() 메서드를 호출해서 서버에 요청
private fun loadLibrary() {
val retrofitAPI = RetrofitConnection.getInstance().create(LibraryService::class.java)
retrofitAPI.getLibrary("API키").enqueue(object : Callback<LibraryResponse> {
override fun onResponse(call: Call<LibraryResponse>, response: Response<LibraryResponse>) {
TODO("Not yet implemented")
}
override fun onFailure(call: Call<LibraryResponse>, t: Throwable) {
TODO("Not yet implemented")
}
})
}
④ 오버라이드한 메서드를 구현
서버 요청이 실패했을 경우 간단한 토스트 메시지로 알려줌
서버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받았다면 지도에 마커를 표시하는 메서드를 호출하도록 코드를 추가
private fun loadLibrary() {
// 레트로핏 객체를 이용하면 LibraryService 인터페이스 구현체를 가져올 수 있음.
val retrofitAPI = RetrofitConnection.getInstance().create(LibraryService::class.java)
retrofitAPI.getLibrary("4f666a5957736f6d35367479796e4e").enqueue(object: Callback<LibraryResponse> {
override fun onResponse(
call: Call<LibraryResponse>,
response: Response<LibraryResponse>) { // 지도에 마커 표시
showLibrary(response.body() as LibraryResponse)
}
override fun onFailure(call: Call<LibraryResponse>, t: Throwable) {
Toast.makeText(baseContext,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없습니다.", Toast.LENGTH_SHORT).show()
}
})
}
6) 지도에 도서관 마커 표시하기
① 지도에 마커를 표시하는 showLibrary() 메서드를 loadLibrary() 메서드 아래에 생성
private fun showLibrary(libraryResponse: LibraryResponse) { }
② 파라미터로 전달된 LibraryResponse의 SeoulPublicLibraryInfo.row에 도서관 목록이 담겨 있음
private fun showLibrary(libraryResponse: LibraryResponse) {
// 도서관 목록을 반복문으로 하나씩 꺼냄.
for (lib in libraryResponse.SeoulPublicLibraryInfo.row) {
// 마커의 좌표를 생성
val position = LatLng(lib.XCNTS.toDouble(), lib.YDNTS.toDouble())
// 좌표와 도서관 이름으로 마커를 생성
val marker = MarkerOptions().position(position).title(lib.LBRRY_NAME)
// 지도에 마커를 추가
mMap.addMarker(marker)
}
}
③ 지도를 보여주는 카메라가 시드니를 가르키므로 카메라의 위치 조정이 필요
수동으로 카메라의 좌표를 직접 입력해 주는 방법도 있지만 마커 전체의 영역을 구하고, 마커의 영역만큼 보여주는 코드를 작성
private fun showLibrary(libraryResponse: LibraryResponse) {
val latLngBounds = LatLngBounds.builder() // 마커 영역 지정
// 도서관 목록을 반복문으로 하나씩 꺼냄.
for (lib in libraryResponse.SeoulPublicLibraryInfo.row) {
val position = LatLng(lib.XCNTS.toDouble(), lib.YDNTS.toDouble())
val marker = MarkerOptions().position(position).title(lib.LBRRY_NAME)
mMap.addMarker(marker)
latLngBounds.include(marker.position) // 마커 추가
}
val bounds = latLngBounds.build() // 저장해 둔 마커의 영역을 구함
val padding = 0
// bounds와 padding으로 카메라를 업데이트
val updated = CameraUpdateFactory.newLatLngBounds(bounds, padding)
mMap.moveCamera(updated)
}
7) onMapReady에서 loadLibrary() 메서드 호출하기
🚀 onMapReady()에 기본으로 작성되어 있는 코드를 주석 처리하고 loadLibrary() 메서드를 호출
override fun onMapReady(googleMap: GoogleMap) {
mMap = googleMap
// val sydney = LatLng(-34.0, 151.0)
// mMap.addMarker(MarkerOptions().position(sydney).title("Marker in Sydney"))
// mMap.moveCamera(CameraUpdateFactory.newLatLng(sydney))
loadLibrary()
}
8) 도서관 클릭 시 홈페이지로 이동하기
🚀 클릭리스너로 새 창을 띄우거나 추가적인 처리를 할 수 있음. 여기서는 도서관 홈페이지의 url이 있는지 검사하고, 있으면 홈페이지를 웹 브라우저에 띄우는 코드를 작성
① 마커에 tag 정보를 추가
마커를 클릭하면 id와 같은 구분 값을 tag에 저장해두고 사용할 수 있음
지도에 마커를 추가하는 코드로 수정하고 tag 값에 홈페이지 주소를 저장
MapsActivity에서 showLibrary() 메서드의 다음 부분을 수정
for (lib in libraryResponse.SeoulPublicLibraryInfo.row) {
val position = LatLng(lib.XCNTS.toDouble(), lib.YDNTS.toDouble())
val marker = MarkerOptions().position(position).title(lib.LBRRY_NAME)
//mMap.addMarker(marker)
val obj = mMap.addMarker(marker)
obj?.tag = lib.HMPG_URL
latLngBounds.include(marker.position) // 마커 추가
}
② 클릭리스너를 달고 tag 홈페이지 주소를 웹 브라우저에 띄움
onMapReady() 안에서 추가로 코드를 작성
지도에 마커클릭리스너를 달고 리스너를 통해 전달되는 마커의 tag를 검사해서 값이 있으면 인텐트로 홈페이지를 띄움
mMap.setOnMarkerClickListener {
if (it.tag != null) {
var url = it.tag as String
if (!url.startsWith("http")) {
url = "http://${url}"
}
val intent = Intent(Intent.ACTION_VIEW, Uri.parse(url))
startActivity(intent)
}
true
}
✓ 예제에서는 Githhub API 중에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자 정보의 저장소를 보여주는 API를 사용
② 간단한 데이터 구조를 가진 JSON
✓ HTML은 구조가 복잡해서 짧은 시간에 분석하고 처리하기에는 거의 불가능한 수준의 프로토콜 ✓ 그런 이유로 현재 데이터 통신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구조 또한 간단한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을 사용 ✓ Githhub API는 JSON 형식으로 만들어진 데이터를 제공. JSON은 데이터 교환에 사용하는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사람과 컴퓨터가 이해하기 쉬우면서 데이터 용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음 ✓ 네트워크 관점에서 JSON은 HTTP와 같은 데이터 프로토콜에서 바디 영역에 정의된 데이터 통신을 위한 개방형 규격
2) JSON의 구조
🚀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지만, 각각의 형식이 의미하는 바를 알고 있어야 함. JSON은 크게 세 가지 형태의 조합으로 구성
JSON 오브젝트
JSON 데이터
JSON 배열
① JSON 오브젝트
✓ JSON 객체는 여는 중괄호 '{'로 시작해 닫는 중괄호 '}'로 끝남
② JSON 데이터
✓ JSON 오브젝트인 중괄호 '{}' 사이에 "데이터 이름": 값의 형식으로 표현되며 이름은 항상 쌍따옴표 ""로 감싸야 하고 이름과 값의 사이에는 콜론 ':'으로 구분. 데이터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쉼표 ','로 구분
{ "데이터 이름": "값", "데이터2 이름": "값2" }
✓ 데이터의 값은 문자, 숫자, 불린, null, JSON 객체, JSON 배열이 될 수 있는데 표현식은 조금씩 다름
데이터 형식
데이터 이름 : 값 표현
비고
문자
"데이터 이름": "값"
값을 쌍따옴표로 감싸야 함.
숫자
"데이터 이름": 123
값을 쌍따옴표로 사용하지 않음.
boolean
"데이터 이름": true
true, false를 값으로 사용하되 쌍따옴표를 사용하지 않음.
null
"데이터 이름": null
null 값을 사용할 수 있음
JSON 객체
"데이터 이름": { }
데이터의 값으로 JSON 오브젝트를 사용할 수 있음.
JSON 배열
"데이터 이름": [ ]
데이터의 값으로 JSON 배열을 사용할 수 있음.
③ JSON 배열
✓ JSON 배열은 JSON 오브젝트의 컬렉션으로 여는 대괄호로 시작해 닫는 대괄호로 끝남 ✓ 배열에 입력되는 JSON 오브젝트가 복수 개일 경우는 쉼표로 구분
레트로핏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조회해서 가져오고 어댑터를 통해 목록에 출력. 레트로핏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어야 함
MainActivity.kt를 열고 onCreate() 메서드 위에 바인딩을 생성한 후 binding 프로퍼티에 저장하고 setContentView()에 binding.root를 입력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private val binding by lazy {
ActivityMainBinding.inflate(layoutInflater)
}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binding.root)
}
}
클래스 아래에 GithhubService 인터페이스 생성 레트로핏 인터페이스는 호출 방식, 주소, 데이터 등을 지정 Retrofit 라이브러리는 인터페이스를 해석해 HTTP 통신을 처리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private val binding by lazy {
ActivityMainBinding.inflate(layoutInflater)
}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binding.root)
}
}
interface GithubService {
}
인터페이스 안에 Github API를 호출할 users() 메서드를 만들고 @GET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요청 주소를 설정 요청 주소는 Github의 도메인을 제외하고 작성. 반환값은 Call<List<데이터 클래스>> 형태로 작성 레트로핏은 이렇게 만들어진 인터페이스에 지정된 방식으로 서버와 통신하고 데이터를 가져옴
interface GithubService {
@GET("users/Kotlin/repos")
fun users(): Call<Repository>
}
onCreate() 블록 안에서 recyclerView의 adapter에 앞에서 만들었던 CustomAdapter를 생성하고 recyclerView에 연결
val adapter = CustomAdapter()
binding.recyclerView.adapter = adapter
Retrofit.Builder()를 사용해서 레트로핏을 생성하고 retrofit 변수에 담음
✓ baseUrl이 되는 Github의 도메인 주소와 JSON 데이터를 앞에서 생성한 Repository 클래스의 컬렉션으로 변환해주는 컨버터를 입력하고 build() 메서드를 호출해서 생성
val retrofit = Retrofit.Builder()
.baseUrl("https://api.github.com/")
.addConverterFactory(GsonConverterFactory.create())
.build()
요청 버튼을 클릭하면 앞에서 생성해둔 레트로핏을 이용해 데이터를 불러오고 어댑터에 세팅 buttonRequest에 클릭리스너를 연결
binding.buttonRequest.setOnClickListener {
}
레트로핏의 create() 메서드에 앞에서 정의한 인터페이스를 파라미터로 넘겨주면 실행 가능한 서비스 객체를 생성해서 반환
val githubService = retrofit.create(GithubService::class.java)
✓ githubService에는 GithubService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객체를 생성했기 때문에 실행(호출)가능한 상태의 users() 메서드를 가지고 있음 ✓ 레트로핏의 create() 메서드는 인터페이스를 실행 가능한 서비스 객체로 만들면서 users() 메서드 안에 비동기 통신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enqueue() 메서드를 추가. enqueue()가 호출되면 통신이 시작됨.
binding.buttonRequest.setOnClickListener {
val githubService = retrofit.create(GithubService::class.java)
githubService.users().enqueue()
}
✓ enqueue() 메서드를 호출한 후 Github API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으면 enqueue() 안에 작성하는 콜백 인터페이스가 작동하게 됨 ✓ enqueue()의 파라미터로 콜백 인터페이스를 구현
콜백 인터페이스의 필수 메서드도 구현. 메서드 2개를 선택해서 자동 생성 선택한 메서드와 함께 자동 생성된 TODO() 행은 모두 지움 메서드의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통신이 성공적이면 onResponse()가 호출
override fun onFailure(call: Call<Repository>, t: Throwable) {
}
override fun onResponse(call: Call<Repository>, response: Response<Repository>) {
}
✓ onResponse() 메서드의 두 번째 파라미터인 response의 body() 메서드를 호출하면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꺼낼 수 있음 ✓ 꺼낸 데이터를 List<Repository>로 형변환한 후에 어댑터의 userList에 담음 ✓ 마지막으로 어댑터의 notifyDataSetChanged()를 호출하면 리사이클러뷰에 변경된 사항이 반영
override fun onResponse(call: Call<Repository>, response: Response<Repository>) {
adapter.userList = response.body() as Repository
adapter.notifyDataSetChanged()
}
✓ modify()에는 문제가 발생할 때 'errors'라는 이름으로 다시 수정 페이지로 이동 할 수 있도록 PageRequestDTO의 getLink()를 통해서 기존의 모든 조건을 붙여서 /board/modify'로 이동하게 구성. ✓ 수정 작업에 이상이 없을 때는 아무런 검색이나 페이징 조건없이 /board/read로 이동
modify.html에 문제가 있을 때는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처리하도록 구성
<script layout:fragment="script" th:inline="javascript">
const errors = [[${errors}]]
console.log(errors)
let errorMsg = ''
if(errors) {
for (let i = 0; i < errors.length; i++) {
errorMsg += `${errors[i].field}은(는) ${errors[i].code} \n`;
}
history.replaceState({}, null, null)
alert(errorMsg);
}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