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셋  Set

👩🏻‍💻  셋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리스트로 리스트와 유사한 구조이지만 인덱스로 조회할 수 없고, get() 메서드도 지원하지 않음

👩🏻‍💻  같은 값을 추가하더라도 해당 값은 하나만 저장
👩🏻‍💻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읽기 전용 셋과 읽기 쓰기 모두 가능한 셋, 총 두가지를 제공
       ➡️  각각 setOf(), mutableSetOf() 함수로 객체를 생성

    // 읽기 전용 셋
    val immutableSet = setOf(1, 1, 2, 2, 2, 3, 3)
    println(immutableSet) // [1, 2, 3]

 1) 빈 셋으로 초기화하고 값 입력하기

    var set = mutableSetOf<String>()
    set.add("JAN")
    set.add("FEB")
    set.add("MAR")
    set.add("JAN") // 셋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값은 입력되지 않음

2) 셋 사용하기


  👾  인덱스로 조회하는 메서드가 없기 때문에 특정 위치의 값을 직접 사용할 수 없음

    println("Set 전체 출력 : ${set}") // Set 전체 출력 : [JAN, FEB, MAR]

3) 삭제하기


  👾  값이 중복되지 않기 때문에 값으로 직접 조회해서 삭제 할 수 있음

    set.remove("FEB")
    println("Set 전체 출력 : ${set}") // Set 전체 출력 : [JAN, MAR]

  👾  함수사용 결과는 요소 삭제나 추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true,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false로 boolean 형 결과로 나옴

    val mutableSet = mutableSetOf(1, 1, 2, 2, 2, 3, 3)
    println(mutableSet.add(100)) // true
    println(mutableSet.add(3)) // false

2.  맵  Map

👩🏻‍💻  맵은 키 Key와 값 Value의 쌍으로 입력되는 컬렉션
👩🏻‍💻  맵의 키는 리스트의 인덱스와 비슷한데 맵에는 키를 직접 입력하고 중복되지 않도록 해야 함

    ⚡️  제네릭으로 키와 값의 데이터 타입을 지정해서 맵을 생성
    ⚡️  맵의 요소는 Pair(A, B)를 사용하는 데 이는 A to B로도 표현할 수 있음

// 읽기 전용 맵
val immutableMap = mapOf("name" to "tom", "age" to 28, "age" to 20, "height" to 170)
println(immutableMap) // {name=tom, age=20, height=170} 중복이 있을 경우 마지막 키값이 저장됨

1) 맵 생성하기


  👾  키와 값의 데이터 타입을 모두 String으로 사용

 var map = mutableMapOf<String, String>()

2) 값 추가하기


  👾  값을 추가하기 위해 제공되는 put 메서드에 키와 값을 입력

    map.put("키1", "값1")
    map.put("키2", "값2")
    map.put("키3", "값3")
    println(map) // {키1=값1, 키2=값2, 키3=값3}


3) 맵 사용하기


  👾  get 메서드에 키를 직접 입력해서 값을 사용할 수 있음

println("map에 입력된 키1의 값은 ${map.get("키1")}입니다.") // map에 입력된 키1의 값은 값1입니다.

 4) 맵 수정하기


  👾  put() 메서드를 사용할 때 동일한 키를 가진 값이 있으면 키는 유지된 채로 값만 수정

map.put("키2", "수정한 값")
map["키2"] = "수정한 값"
println("map에 입력된 키2의 값은 ${map.get("키2")}입니다.") 
// map에 입력된 키2의 값은 수정한 값입니다.

5) 맵 삭제하기


  👾  remove() 메서드에 키를 입력해 값을 삭제할 수 있음

map.remove("키1")

// 없는 값을 불러오면 null 값이 출력됨
println("map에 입력된 키1의 값은 ${map.get("키1")}입니다.") 
// map에 입력된 키1의 값은 null입니다.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


1.  컬렉션

자바에서 리스트 List, 셋 Set, 맵 Map 등 여러 자료 구조를 사용하는데, 코틀린에서도 이러한 컬렉션을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몇 가지 편리한 함수를 추가로 제공. 또한 코틀린은 컬렉션을 읽기 전용 immutable 컬렉션읽기-쓰기 mutable 컬렉션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눔


1) 리스트 List


  👻 리스트 List는 저장되는 데이터에 인덱스를 부여한 컬렉션이며 중복된 값을 입력할 수 있음
  👻 코틀린에서 동적으로 리스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리스트 자료형 앞에 뮤터블 Mutable 이라는 접두어 prefix가 붙음
        💫  접두어가 있는 리스트도 있지만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mutableList, mutableMap, mutableSet을 사용

 

 뮤터블과 이뮤터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뮤터블은 변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을 가르키는 용어변수로는 var이 뮤터블
그리고 반대 개념인 이뮤터블 Immutable이 있는데 이것은 val과 같이 변할 수 없는 데이터 타입을 가르키는 용어.

  ⚡️ 코틀린은 컬렉션 데이터 타입을 설계할 때 모두 이뮤터블로 설계
  ⚡️ 기본 컬렉션인 리스트, 맵, 셋은 모두 한 번 입력된 값을 바꿀 수 없음
  ⚡️ 컬렉션의 원래 용도인 동적 배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뮤터블로 만들어진 데이터 타입을 사용해야 함

 

읽기 전용 리스트는 listOf() 함수를 사용
읽기 쓰기 모두 가능한 리스트는 mutableListOf() 함수를 사용
    // 이뮤터블
    val numList = listOf(1, 2, 3)
    println(numList[1]) // 2
    // numList[0] = 10    // error
   // 뮤터블
   val mutableList = mutableListOf("MON", "TUE", "WED") 
    // 3개의 값을 가진 크기가 3인 동적 배열 리스트가 생성

2) 리스트에 값 추가하기 : add


  👻  mutableList 변수에 add 메서드를 사용해서 값을 추가
  👻  값이 추가되면서 동적으로 리스트의 공간이 자동으로 증가

        mutableList.add("THU") 
        // 입력될 위치인 인덱스를 따로 지정해주지 않아도 입력되는 순서대로 인덱스가 지정.
        println(mutableList) 
        // [MON, TUE, WED, THU]

3) 리스트에 입력된 값 사용하기 : get


  👻  입력할 때와는 다르게 사용할 때는 인덱스를 지정해서 몇 번째 값을 꺼낼 것인지 명시

        var variable = mutableList.get(1) // 두 번째 값을 변수에 저장
        variable = mutableList[1]
        println(variable) // TUE

4) 리스트 값 수정하기 : set


  👻  특정 인덱스 값을 수정

        mutableList.set(1, "수정할 값") // 두 번째 값을 수정
        println(mutableList) // [MON, 수정할 값, WED, THU]
        mutableList[1] = "수정할 값" // 두 번째 값을 수정.

5) 리스트에 입력된 값 제거하기 : removeAt


  👻  리스트에 입력된 값의 인덱스를 지정해서 삭제

        println(mutableList.get(1)) // 수정할 값
        mutableList.removeAt(1) // 두 번째 값을 삭제
        // 두 번째 값을 삭제하면 세 번째 값부터 인덱스가 하나씩 감소하면서 빈자리의 인덱스로 이동
        println(mutableList.get(1)) // WED

6) 빈 리스트 사용하기


  👻  아무것도 없는 빈 리스트를 생성하면 앞으로 데이터 타입을 알 수 없기 때문에 값의 타입을 추론할 수 없음
  👻  빈 컬렉션의 경우 앞에서처럼 '데이터타입of'만으로는 생성되지 않고 데이터 타입을 직접적으로 알려주는 방법을 사용해야 함

var 변수명 = mutableListOf<컬렉션에 입력될 값의 타입>()
var stringList = mutableLisfOf<String>()
        // 생성
        val stringList = mutableListOf<String>() // 문자열로 된 빈 컬렉션을 생성

        stringList.add("월")
        stringList.add("화")
        println(stringList[1]) // 화

7) 컬렉션 개수 가져오기 : size


  👻  size 프로퍼티를 사용하면 컬렉션의 개수를 가져올 수 있음

        println("stringList에는 ${stringList.size}개의 값이 있습니다.")
        // stringList에는 2개의 값이 있습니다.

 


예제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List 객체를 생성하고 여기에 "a", "b", "c", "d", "e"를 저장한 후 이것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생성
    출력 예:  [a, b, c, d, e]

    1. 뮤터블  2. 이뮤터블 두 케이스 다 작성

fun main() {

    val charList = listOf("a", "b", "c", "d", "e") 
    println(charList) // [a, b, c, d, e]

    val mutableList = mutableListOf<String>()
    // val mutableList: MutableList<String> = mutableListOf()
    mutableList.add("a")
    mutableList.add("b")
    mutableList.add("c")
    mutableList.add("d")
    mutableList.add("e")

    println(mutableList) // [a, b, c, d, e]
}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


1.  버스 노선 가져오기

html 코드
<body>
<table>
    <thead>
        <tr>
            <th>버스번호</th>
            <th>버스등급</th>
            <th>평일요금</th>
            <th>평일 시간표</th>
            <th>주말 시간표</th>
        </tr>
    </thead>
    <tbody>

    </tbody>
</table>
<div>
    <input type="button" value="대구">
    <input type="button" value="구미">
    <input type="button" value="경산">
    <input type="button" value="포항">
</div>
</body>

 

css 코드
table, td, th {
    border-collapse: collapse;
    border: 2px solid black;
}

table th {
    height: 50px;
}

table td {
    padding: 15px;
}


table th:first-child {
    width: 200px;
}

table th:nth-child(2) {
    width: 100px;
}

table th:nth-child(3) {
    width: 200px;
}

table th:nth-child(4) {
    width: 550px;
}

table th:last-child {
    width: 550px;
}

div {
    margin: 0 auto;
    padding: 20px;
    text-align: center;
    width: 1000px;
}
div input {
    width: 70px;
    height: 40px;
    background-color: #3a4bb9;
    color: white;
    border: none;
    border-radius: 4px;
    cursor: pointer;
    padding: 5px 10px;
}
div input:hover {
    background-color: white;
    color: #3a4bb9;
}

자바스크립트 코드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

    const btns = document.querySelectorAll('[type=button]');

    btns.forEach(function (item) {
        item.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
            const cityName = item.getAttribute('value'); // value 값 변수에 담기
            let url = getUrl() // 함수값을 변수에 담기
            printlist(url, cityName); // 함수 호출
        });
    });

    // 1, 2 터미널 각각 분류된 평일 및 주말 시간표를 합치는 함수 만들기
    const sortStr = function (string1, string2) { 
        // 기본 데이터는 문자열. 2개의 문자열을 결합하고, ',' 기준으로 배열로 변환
        let tempList = (string1 + ', ' + string2).split(",");
        tempList = [...new Set(tempList)]; // set으로 중복값 제거
        tempList = tempList.map((item) => item.trim()) // 공백제거
        tempList.sort(); // 오름차순 정렬

        // 현재 시간 구해서 지나간 시간이면 연하게 출력.
        const today = new Date();
        const todayTime = `${today.getHours()}${today.getMinutes()}`;
        // console.log(todayTime)
        tempList = tempList.map((item) => {
            console.log(Number(item))
            return Number(item) < Number(todayTime) ? `<span style="color: #cccccc">${item}</span>` : item;
        });

        return tempList.join(", "); // 배열을 문자열로 변환
    }

    const getUrl = function () {
        const service_key = 'uAhO32pV0qa7BDOmkJLhw2ZyOB9i5bGj7cMN8cuuHmKIwyyf29lHLjym8hBXdIaXyvAI1IyLvQZopk5HW233qQ=='
        const para = `?serviceKey=${service_key}&area=6&numOfRows=100&pageNo=1&type=json`
        return 'http://apis.data.go.kr/B551177/BusInformation/getBusInfo' + para
        // console.log(url)
    }

    const printlist = function (getUrl, cityName) {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GET', getUrl);
        xhr.onreadystatechange = () => {
            
            if (xhr.readyState !== XMLHttpRequest.DONE) return;

            if (xhr.status === 200) {
                console.log(xhr.response);
                jsonData = JSON.parse(xhr.response);
                //console.log(jsonData);

                const routes = jsonData.response.body.items;
                //console.log(routes)
                const tBody = document.querySelector("tbody");

                while (tBody.firstChild) {
                    tBody.removeChild(tBody.firstChild);
                }

                for (route of routes) {
                    //console.log(route["routeinfo"])

                    if (route["routeinfo"].indexOf(cityName) !== -1) {
                        const trTag = document.createElement('tr');
                        console.log(route)

                        trTag.innerHTML = `
                            <td>${route["busnumber"]}</td>
                            <td>${route["busclass"]}</td>
                            <td>${route["adultfare"]}</td>
                            <td>${sortStr(route["t1wdayt"], route["t2wdayt"])}</td>
                            <td>${sortStr(route["t1wt"], route["t2wt"])}</td>`

                        tBody.appendChild(trTag);
                    }
                }

            } else {
                console.error('Error', xhr.status, xhr.statusText);
            }
        }
        xhr.send();
    }
});

 


2.  항공 출도착 정보 

html 코드
<body>
<table>
    <div>
        <input type="button" id="NRT" value="나리타">
        <input type="button" id="CTS" value="삿포로">
        <input type="button" id="KIX" value="오사카/간사이">
        <input type="button" id="FUK" value="후쿠오카">
        <input type="button" id="HKG" value="홍콩">
    </div>

    <thead>
    <tr>
        <th>항공사</th>
        <th>편명</th>
        <th>예정시간</th>
        <th>도착지 공항</th>
    </tr>
    </thead>
    <tbody>

    </tbody>
</table>
</body>

 

css 코드
table {
    margin: 20px auto;
}

table, td, th {
    border-collapse: collapse;
    border: 2px solid black;
}

table th {
    height: 50px;
}

table td {
    padding: 15px;
    text-align: center;
}


table th:first-child {
    width: 200px;
}
table th:nth-child(2) {
    width: 60px;
}
table th:nth-child(3) {
    width: 150px;
}
table th:nth-child(4) {
    width: 160px;
}

div {
    margin: 0 auto;
    padding: 20px;
    text-align: center;
    width: 1000px;
}
div input {
    width: 100px;
    height: 40px;
    background-color: #3a4bb9;
    color: white;
    border: none;
    border-radius: 4px;
    cursor: pointer;
    padding: 5px 10px;
}
div input:hover {
    background-color: white;
    color: #3a4bb9;
}

자바스크립트 코드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
    const btns = document.querySelectorAll('[type=button]');

    btns.forEach(function (item) {
        item.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
            const airport = item.getAttribute("id");
            let url = getUrl(airport)
            printList(url);
        });
    });

    const getUrl = function (airportCode) {
        const service_key = 'uAhO32pV0qa7BDOmkJLhw2ZyOB9i5bGj7cMN8cuuHmKIwyyf29lHLjym8hBXdIaXyvAI1IyLvQZopk5HW233qQ=='
        const para = `?type=json&ServiceKey=${service_key}&airport_code=${airportCode}`
        return 'http://apis.data.go.kr/B551177/StatusOfPassengerFlightsDSOdp/getPassengerDeparturesDSOdp' + para
    }
    //console.log(getUrl())

    const printList = function (getUrl) {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GET', getUrl);
        xhr.onreadystatechange = () => {
            // readyState 프로퍼티의 값이 DONE : 요청한 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되어 응답할 준비가 완료됨.
            if (xhr.readyState !== XMLHttpRequest.DONE) return;

            if (xhr.status === 200) { // 서버(url)에 문서가 존재함
                //console.log(xhr.response);
                const jsonData = JSON.parse(xhr.response);
                //console.log(jsonData);

                const airlines = jsonData.response.body.items;
                //console.log(airlines)

                const tBody = document.querySelector("tbody");

                while (tBody.firstChild) {
                    tBody.removeChild(tBody.firstChild);
                }

                for (airline of airlines) {

                    const list = document.createElement('tr');

                    list.innerHTML = `
                    <td>${airline['airline']}</td>
                    <td>${airline['flightId']}</td>
                    <td>${airline['estimatedDateTime']}</td>
                    <td>${airline['airport']}</td>`

                    tBody.appendChild(list);
                }

            } else {
                console.error('Error', xhr.status, xhr.statusText);
            }
        }
        xhr.send();
    }
});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


1.  Ajax ;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브라우저가 비동기 방식으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가 응답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갱신하는 프로그래밍 방식. (ex. 구글 지도)


  👾  Ajax는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Web API인 XMLHttpRequest 객체를 기반을 동작
  👾  XMLHttpRequest : HTTP 비동기 통신을 위한 메서드와 프로퍼티를 제공

  👾  이전의 웹페이지는 완전한 HTML을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웹페이지 전체를 처음부터 다시 렌더링하는 방식으로 동작
          ➡️  화면이 전환되면 서버로부터 새로운 HTML을 전송받아 웹페이지 전체를 처음부터 다시 렌더링

 

전통적 방식의 단점 


    a. 이전 웹페이지와 차이가 없어서 변경할 필요가 없는 부분까지 포함된 완전한 HTML을 서버로부터

        매번 다시 전송받기 때문에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이 발생
    b. 변경할 필요가 없는 부분까지 처음부터 다시 렌더링 한다. 이로 인해 화면 전환이 일어나면 화면이 순간적으로

         깜빡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c.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통신이 동기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서버로부터 응답이 있을 때까지 다음 처리는 블로킹 된다.


Ajax의 장점


   a. 변경할 부분을 갱신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만 서버로부터 전송받기 때문에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 발생 x
   b. 변경할 필요가 없는 부분은 다시 렌더링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면이 순간적으로 깜빡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c.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통신이 비동기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서버에게 요청을 보낸 이후 블로킹이 발생하지 않는다.

 

Ajax의 단점


    a. 즐겨찾기나 검색엔진에 불리
    b. 개발이 상대적으로 어려움

 

💡  '동기(synchronous)'란       
     -  직렬적으로 태스크를 수행  ▶️  요청을 보낸 후 응답을 받아야지만 다음 동작이 이루어지는 방식 (순차 진행)
💡  '비동기 (asynchronous)'란       
     -  병렬적으로 태스크를 수행  ▶️  요청을 보낸 후 응답의 수락 여부와는 상관없이 다음 태스크가 동작 (멀티 진행)
     
   * 출처 : https://velog.io/@khy226

 


2.  JSON ; JavaScript Object Notation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HTTP 통신을 위한 텍스트 데이터 포맷
자바스크립트에 종속되지 않은 언어 독립형 데이터 포맷으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음

  👾  JSON은 자바스크립트의 객체 리터럴과 유사하게 키와 값으로 구성된 순수한 테스트
  👾  JSON의 키는 반드시 큰 따옴표(작은 따옴표 사용 불가)로 묶여야 함
  👾  값은 문자열은 큰 따옴표(작은 따옴표 사용 불가)로 묶여야 함 나머지는 그대로 쓰여도 무관


 

1) JSON.stringify()


     ⚡️ 객체를 JSON 포맷의 문자열로 변환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객체를 전송하려면 객체를 문자열화해야 하는 데 이를 직렬화 serializing 라고 함

// 기본 형식
JSON.stringify(value, replacer, space)
    1. value : 변환할 객체
    2. replacer : 함수. 값의 타입이 Number이면 필터링이되어 반환되지 않는다.

    3. space : 들여쓰기 몇 칸 할지 Int 형으로 기입
<head>
    <script>
    
        const obj = {
            name: 'Lee',
            age: 20,
            alive: true,
            hobby: ['traveling', 'tennis'],
        };
        console.log(typeof obj); // object

        // 객체를 JSON 포맷의 문자열로 변환.
        const prettyJson = JSON.stringify(obj, null, 2); 
        console.log(typeof prettyJson, prettyJson);
        /*
        string {
           "name": "Lee",
           "age": 20,
           "alive": true,
           "hobby": [
               "traveling",
               "tennis"
           ]
         }
        */
        
         function filter(key, value) {
            //undefined: 반환되지 않음
            return typeof value === 'number' ? undefined : value;
        }
        
        const strFilteredObject = JSON.stringify(obj, filter, 2);
        console.log(typeof strFilteredObject, strFilteredObject);
        /*
        string {
            "name": "Lee",
            "alive": true,
            "hobby": [
                "traveling",
                "tennis"
             ]
        */
}
    </script>
</head>

JSON.stringify() 메서드는 객체뿐만 아니라 배열도 JSON 포맷의 문자열로 변환
<script>
        const todos = [
            { id: 1, content: 'HTML', completed: false },
            { id: 2, content: 'CSS', completed: true },
            { id: 3, content: 'JavaScript', completed: false },
        ];
        // 배열을 JSON 포맷의 문자열로 변환
        const jsonArray = JSON.stringify(todos, null, 2);
        console.log(typeof jsonArray, jsonArray);
        /*
        string [
            {
                "id": 1,
                "content": "HTML",
                "completed": false
             },
            {
                "id": 2,
                "content": "CSS",
                "completed": true
             },
            {
                "id": 3,
                "content": "JavaScript",
                "completed": false
            }
         ]
         */
</script>

 


2)  JSON.parse()


    ⚡️  JSON 포맷의 문자열을 객체로 변환  ▶️  역직렬화 deserializing
    ⚡️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된 JSON 데이터는 문자열이고, 이 문자열을 객체로 변환

<script>

    const obj = {
        name: "Lee",
        age: 20,
        alive: true,
        hobby: ["traveling", "tennis"],
    };
    console.log(typeof obj); // obj

    // 객체를 JSON 포맷의 문자열로 변환.
    const json = JSON.stringify(obj);
    console.log(typeof json); // string

    // JSON 포맷의 문자열을 객체로 변환.
    const parsed = JSON.parse(json);
    console.log(typeof parsed, parsed); // object

</script>

 


3.  Ajax를 이용해 데이터 가져오기

 

<script>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
   
       // 1. XMLHttpRequest 객체 생성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 2. HTTP 요청 초기화
        xhr.open('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1');
        // HTTP 요청 방식(GET, POST), 클라이언트가 HTTP 요청을 보낼 서버의 URL 주소

       // 3. 이벤트 등록. XMLHttpRequest 객체의 readyState 프로퍼티 값이 변할 때마다 자동으로 호출
        xhr.onreadystatechange = () => {
            // readyState 프로퍼티의 값이 DONE : 요청한 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되어 응답할 준비가 완료됨.
            if(xhr.readyState !== XMLHttpRequest.DONE) return;

            if(xhr.status === 200) { // 서버(url)에 문서가 존재함
                console.log(JSON.parse(xhr.response));
                /*
                {
                    "userId": 1,
                    "id": 1,
                    "title": "delectus aut autem",
                    "completed": false
                }
                */
                
                const obj = JSON.parse(xhr.response);
                console.log(obj.title); // delectus aut autem
            } else {
                console.error('Error', xhr.status, xhr.statusText);
            }
        }
        xhr.send(); // 4. url에 요청을 보냄.
    });
</script>

 


💡 onreadystatechange
서버로 부터 응답이 오게 되어 XMLHttpRequest 객체의 값이 변하게 되면 이를 감지해 자동으로 호출되는 함수를 설정한다.
함수를 등록하게 되면 서버에 요청한 데이터가 존재하고, 서버로부터 응답이 도착하는 순간을 특정할 수 있게 된다.

💡  status
서버의 문서 상태를 표현한다(200 : 존재 / 404 : 미존재)

💡 xhr.send()

send() 메서드를 통해 서버로 객체를 전달한다. 이때 send() 메서드 매개변수를 쓰냐 안쓰냐에 따라 GET / POST 방식으로 다르게 보내게 된다.

💡  readyState 프로퍼티

XMLHttpRequest 객체의 현재 상태를 나타낸다. 이 프로퍼티의 값은 객체의 현재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주기로 순서대로 변화한다.

  1. UNSENT (숫자 0) : XMLHttpRequest 객체가 생성됨.
  2. OPENED (숫자 1) : open() 메소드가 성공적으로 실행됨.
  3. HEADERS_RECEIVED (숫자 2) : 모든 요청에 대한 응답이 도착함.
  4. LOADING (숫자 3) : 요청한 데이터를 처리 중임.
  5. DONE (숫자 4) : 요청한 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되어 응답할 준비가 완료됨.
 

출처: https://inpa.tistory.com/entry/JS-📚-AJAX-서버-요청-및-응답-XMLHttpRequest-방식 [Inpa Dev 👨‍💻:티스토리] 


출처: https://inpa.tistory.com/entry/JS-📚-AJAX-서버-요청-및-응답-XMLHttpRequest-방식
         [Inpa Dev 👨‍💻:티스토리]

응용 예제 - 현재 날씨 가져오기
<head>
    <meta charset="UTF-8">
    <title>Title</title>
    <script>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
            // url 인코딩된 키 사용
            const serviceKey = 'uAhO32pV0qa7BDOmkJLhw2ZyOB9i5bGj7cMN8cuuHmKIwyyf29lHLjym8hBXdIaXyvAI1IyLvQZopk5HW233qQ==';

            // 위치 값
            const nx = 89
            const ny = 90

            // 현재 시간 구함
            const today = new Date();

            const baseDate = `${today.getFullYear()}${('0' + (today.getMonth() + 1)).slice(-2)}${('0' + today.getDate()).slice(-2)}`;
            // 현재 분이 30분 이전이면 이전 시간(정시)을 설정.
            let baseTime = today.getMinutes() <= 30 ? `${today.getHours() -1}00` : `${today.getHours()}00`;
            baseTime = (baseTime.length === 3) ? `0${baseTime}` : baseTime; // 10시 전이면 0을 하나 붙임.

            const parameter = `?serviceKey=${serviceKey}&base_date=${baseDate}&base_time=${baseTime}&nx=${nx}&ny=${ny}&dataType=JSON`
            const url = 'http://apis.data.go.kr/1360000/VilageFcstInfoService_2.0/getUltraSrtNcst' + parameter
            console.log(url+parameter);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GET', url);
            xhr.onreadystatechange = () => {
                // readyState 프로퍼티의 값이 DONE : 요청한 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되어 응답할 준비가 완료됨.
                if(xhr.readyState !== XMLHttpRequest.DONE) return;

                if(xhr.status === 200) { // 서버(url)에 문서가 존재함
                    console.log(xhr.response);
                    jsonData = JSON.parse(xhr.response);
                    console.log(jsonData);

                    const weatherItems = jsonData.response.body.items.item;
                    let jsonStr = `[발표 날짜: ${weatherItems[0]["baseDate"]}]\n`;
                    jsonStr += `[발표 시간: ${weatherItems[0]["baseTime"]}]\n`;
                    for (let k in weatherItems) {
                        let weatherItem = weatherItems[k];
                        obsrValue = weatherItem['obsrValue']
                        // T1H: 기온, RN1: 1시간 강수량, REH: 습도 %
                        if (weatherItem['category'] === 'T1H') {
                            jsonStr += ` * 기온: ${obsrValue}[℃]\n`;
                        } else if (weatherItem['category'] === 'REH') {
                            jsonStr += ` * 습도: ${obsrValue} [%]\n`;
                        } else if (weatherItem['category'] === 'RN1') {
                            jsonStr += `* 1시간 강수량: ${obsrValue} [mm]\n`;
                        }
                    }

                    document.querySelector('div').innerText = jsonStr;


                } else {
                    console.error('Error', xhr.status, xhr.statusText);
                }
            }
            xhr.send();
        });

    </script>
</head>
<body>
<div>


</div>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및 inpa_dev 티스토리 ]


1.  함수  function

🐰  함수는 fun으로 정의하고 반환값이 있는 함수는 내부에서 return으로 값을 반환
🐰  함수를 정의할 때 입력값을 기술한 것을 '파라미터'

    fun 함수이름 (파라미터 이름 : 타입) : 반환타입 {
        return 값
    }


  🥕  함수의 괄호 안에 입력되는 '파라미터 이름 : 타입'에 따라, 함수를 호출할 때 괄호 안에 값을 넣어서 전달하는데
        이 때 입력되는 값의 타입은 함수에 정의된 파라미터 타입과 동일하게 입력해야 함

 

1) 함수의 정의

 

 반환값과 입력값이 있는 함수의 정의


    ✏️  Int 타입의 x라는 입력 파라미터를 갖는 함수 square()를 정의

fun square(x: Int): Int {
    return x * x
}
// square() 함수가 호출되면 입력값을 제곱해서 호출한 측으로 반환하고 실행이 종류.

반환값이 없는 함수의 정의 

 

    ✏️  반환값 없이 입력값을 받아서 출력하는 함수 printSum() 함수를 정의. 함수가 호출되면 결과값을 출력하고 실행이 종료

fun printSum(x: Int, y: Int) {
    println("x + y = ${x + y}")
}

입력값 없이 반환값만 있는 함수의 정의
fun getPi(): Double {
    return 3.14
}


 2) 함수의 사용(호출)


🐰  함수의 사용은 이름 뒤에 괄호를 붙여서 명령어를 실행하는 형태

함수명(값)    

 

    🥕  괄호를 붙이지 않으면 함수의 코드가 실행되지 않고 마치 값처럼 인식

 

반환값과 입력값이 있는 함수의 호출


   ✏️  파라미터에 전달할 값을 입력하고 반환값은 대입 연산자(=)로 변수에 담은 후 사용

fun main() {
    var squareResult = square(30)
    println("30의 제곱은 ${squareResult}입니다.") // 30의 제곱은 900입니다.
    println("40의 제곱은 ${square(40)}입니다.") // 40의 제곱은 1600입니다.
}

반환값이 없는 함수의 호출


    ✏️  반환값이 없으면 대입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호출해서 실행

fun main() {
    printSum(3, 5) // x + y = 8
}

입력값이 없는 함수의 호출


    ✏️  입력값이 없다면 괄호만으로 실행하고 결과값을 받을 수 있음

fun main() {

    val PI = getPi()
    println("지름이 10인 원의 둘레는 ${PI}입니다.") // 지름이 10인 원의 둘레는 3.14입니다.

}

 2.  함수 파라미터의 정의

🐰  함수에 입력되는 파라미터는 마치 변수를 정의하듯이 '이름 : 타입'의 형태로 정의
       ➡️  여러 개의 파라미터가 정의될 경우는 콤마로 구분
🐰  코틀린에서 함수 파라미터를 통해 입력되는 모든 값은 변하지 않는 immutable
🐰  코틀린에서의 함수 파라미터는 모두 읽기 전용 키워드 val이 생략된 형태

 fun 함수이름((val 생략) name1: String, name2: Int, name3: Double) {실행코드} 

 

 

1) 파라미터의 기본값 정의와 호출


    🥕  파라미터는 정의할 때 등호(=)를 사용해서 기본값을 설정할 수 있음

fun 함수이름 (name1: String, name2: Int = 157, name3: Double = 34.5) {실행코드}
fun newFun(name: String, age: Int = 29, weight: Double = 65.5) {
        // name = "tom"; // Val cannot be reassigned
        println("name의 값은 ${name}입니다.")
        println("age의 값은 ${age}입니다.")
        println("weight의 값은 ${weight}입니다.")
}

// 정의된 newFun() 함수를 호출할 때 기본값이 없는 첫 번째 파라미터에만 값을 입력하면
// 두 번째와 세 번째 파라미터에는 설정한 기본값이 자동으로 입력.
    
    newFun("Hello")
    /*
    name의 값은 Hello입니다.
    age의 값은 29입니다.
    weight의 값은 65.5입니다.
     */


2)  파라미터 이름으로 값을 입력하기


    🥕  함수에 정의된 파라미터가 많을 경우 입력하는 값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을 때가 있음
    🥕  이럴 경우 순서와 상관 없이 정의된 파라미터 이름을 지정해서 직접 값을 입력할 수 있음

fun main() {

    newFun("Michael", weight=67.5)
    /*
     name의 값은 Michael입니다.
     age의 값은 29입니다.
     weight의 값은 67.5입니다.
     */

}

 


응용 예제

 

   📍 login() 메서드와 logout() 메서드를 선언
        login() 메서드를 호출할 때는 매개값으로 id와 passwd를 제공하고, logout() 메서드는 id만 매개값으로 제공

       1) login() 메서드는 매개값 id가 "admin", 매개값 password가 "1234"일 경우에만 true 로 리턴하고

           그외의 값일 경우에는 false를 리턴
       2) logout() 메서드는 "admin 아이디가 로그아웃 되었습니다"가 출력

fun main() {

    print("아이디를 입력해주세요. >> ")
    val id = readln()
    print("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 ")
    val password = readln()

    val result = login(id = id, password = password)
    if (result) {
        println("로그인 되었습니다.")
        logout(id)
    } else {
        println("id 또는 password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

}

fun login(id:String, password: String): Boolean {
    return id == "admin" && password == "1234"
}

fun logout(id: String) {
    println("$id 아이디가 로그아웃 되었습니다.")
}

 


  📍  배열을 전달 받아 짝수만 출력하는 메서드 작업 

fun main() {
   
    val numbers = IntArray(10)
    for (i in numbers.indices) {
        numbers[i] = i + 1
    }
    print("main() : ")
    for (i in numbers.indices) {
        print(numbers[i])
        if (i < numbers.size - 1) {
            print(", ")
        }
    } // main() : 1, 2, 3, 4, 5, 6, 7, 8, 9, 10

    println()
    printOdd(numbers) // printOdd() : 2, 4, 6, 8, 10
}

fun printOdd(numbers: IntArray) {
    print("printOdd() : ")
    for (i in numbers.indices) {
        if (numbers[i] % 2 == 0) {
            print(numbers[i])
            if ( i < numbers.size - 1) {
                print(", ")
            }
        }
    }

    val odds = numbers.filter {result -> result % 2 == 0}
    println(odds)
}

 


  📍 키보드로 부터 학생 수와 각 학생들의 점수를 입력받아서, 최고 점수 및 평균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

fun main() {

    var run = true // 반복문의 조건으로 사용 -> 값이 false가 된다면 반복문이 종료

    var scoreList: IntArray = IntArray(0)
    while (run) {
        println("-----------------------------------------------------")
        println("1.학생수 | 2.점수입력 | 3.점수리스트 | 4.분석 | 5.종료")
        println("-----------------------------------------------------")
        print("선택> ")
        val selectNo: Int = readln().trim().toInt()
        when (selectNo) {
           1 -> scoreList = inputStudentNum() // 학생수를 입력 받아서 배열 생성
           2 -> inputScores(scoreList) // 생성된 배열의 갯수 만큼 점수 입력
           3 -> printScores(scoreList) // 입력받은 배열의 값을 출력
           4 -> printAnalysis(scoreList) // 최고 점수, 평균 점수 출력
           5 -> run = setRun() // run 값 변경
        }
    }
    println("프로그램 종료")
}

fun inputStudentNum():IntArray {
    print("학생수> ")
    var studentNum = readln().toInt()
    return IntArray(studentNum)
}

fun inputScores(scores:IntArray) {
    for (i in scores.indices) {
        print("scores[$i] > ")
        scores[i] = readln().toInt()
    }
}

fun printScores(scores:IntArray) {
    for (i in scores.indices) {
        println("scores[$i] : " + scores[i])
    }
}

fun printAnalysis(scores: IntArray) {
    var max = scores[0]
    var sum = scores[0]
    var avg: Double

    for (i in 1 until scores.size) {
        if (scores[i] > max) {
            max = scores[i]
        }
        sum += scores[i]
    }

    avg = (sum / scores.size).toDouble()
    println("최고 점수: " + max)
    println("평균 점수: " + avg)

}

fun setRun(): Boolean {
    return false
}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


1.  배열  Array

🐝  여러 개의 값을 담을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형인 배열은 값을 담기 전에 먼저 배열 공간의 개수를 할당하거나
      초기화 시에 데이터를 저장해 두면 데이터의 개수만큼 배열을 크기가 결정
🐝  먼저 개수를 정해 놓고 사용해야 하며 중간에 개수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없음

💡  배열은 다른 데이터 타입과 마찬가지로 변수로 저장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선언
      var 변수 = Array(개수)
fun main() {
    // 배열 객체는 Int, Long, Char 등과 같은 기본 타입 뒤에 Array를 붙여서 만듦.
    var students: IntArray = IntArray(10) // 변수 student에 Int(정수형) 공간을 10개 할당하라는 의미
    var longArray = LongArray(10)
    var charArray = CharArray(10)
    var floatArray = FloatArray(10)
    var doubleArray = DoubleArray(10)

    println(students[0]) // 0 -> 따로 초기화 하지 않으면 0으로 초기화.
}

1) 문자열 배열에 빈 공간 할당하기


🍯  String은 기본 타입이 아니기 때문에 StringArray는 없지만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음

var stringArray = Array(10, {item -> "" })


🍯  괄호 안의 첫 번째 숫자인 10만 변경해서 사용하면 그 숫자만큼 빈 문자열로 된 배열 공간을 할당
       ➡️  자바에서는 문자열 배열을 생성하면서 초기화 하지 않으면 null이 초기값이 됨
       ➡️  하지만 코틀린은 기본적으로 Null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빈 문자열을 이용해서 따로 초기화해야 함


2) 값으로 배열 공간 할당하기


🍯  arrayOf() 함수를 사용해서 String 값을 직접 할당할 수도 있음

fun main() {
    var dayArray: Array<String> = arrayOf("MON", "TUE", "WED", "THU", "FRI", "SAT", "SUM")

    var intArray: IntArray = intArrayOf(1, 2, 3, 4, 5, 6, 7, 8, 9, 10)
    var intArray2: Array<Int> = arrayOf(1, 2, 3, 4, 5, 6, 7, 8, 9, 10)
}

3) 배열에 값 입력하기

 

🍯  다음은 배열의 인덱스에 있는 값을 바꾸는 방법을 다른 방식으로 표현한 것

 

💡 이 두 방식은 표현식만 다를 뿐 동일한 코드

    1. 배열을 선언한 변수명 옆에 대괄호([])를 사용하고, 대괄호 안에 값을 저장할 위치의 인덱스 번호를 작성
        그리고 등호(=)를 사용해서 값을 입력
       배열명[인덱스] = 값

    2. set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음. 배열이 제공하는 set()메서드에 인덱스와 값을 파라미터로 넘겨주면 됨
       배열명.set(인덱스, 값)
fun main() {
    students[0] = 90
    students.set(1, 91)
}

 4) 배열에 있는 값 꺼내기


🍯  값을 입력할 때와 같은 방식으로 인덱스로 값을 가져올 수 있음

 

💡 대괄호 안에 인덱스를 입력해서 가져올 수 있으며 값을 꺼내는 배열의 메서드는 get()
     배열명[인덱스]
     배열명.get(인덱스)
fun main() {

    // 배열 students의 일곱번째 값을 seventhValue 변수에 저장
    var seventhValue = students[6]

    // 배열 students의 열번째 값을 tenthValue 변수에 저장
    var tenthValue = students.get(9)

}

 


응용 예제
fun main() {
    /* for문을 이용해서 arr 배열의 합을 구하세요 */
    val arr = intArrayOf(10, 20, 30, 40, 50)
    var sum = 0

    // 작성 위치
    // 1. until 사용
    for (i in 0 until arr.size) {
        sum += arr[i]
    }
    println("arr 배열의 합은 $sum")

    // 2. for in 사용
    sum = 0
    for (item in arr) {
        sum += item
    }
    println("arr 배열의 합은 $sum")

    // 3. indices 사용
    println(arr.indices) // 0..4
    sum = 0
    for (i in arr.indices) {
        sum += arr[i]
    }
    println("sum = $sum")
}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