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외부 모듈의 이용

📁  외부 모듈은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배포하는 모듈을 말함

 

1) 패키지

    👾  모듈의 상위 개념으로 모듈의 집합을 의미
    👾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만들어진 패키지를 이용하면 패키지에 포함된 모듈을 사용할 수 있음


2) 패키지 관리자

    👾  외부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모듈이 포함된 패키지를 추가로 설치
    👾  pip라고 불리는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해서 패키지를 추가, 삭제


3) 패키지 설치

💡  보통 관심있는 분야와 관련된 모듈을 검색해서 설치

       📌  맥os 에서는 터미널에 입력하여 설치

 pip install package


    👾  numpy 패키지수치해석과 통계에서 많이 사용

import numpy as np
print(np.sum([1, 2, 3, 4, 5]))  # 15

 


   

    👾  Beautiful Soup는 파이썬 웹 페이지 분석 모듈

# Beautiful Soup 모듈로 날씨 가져오기
from urllib import request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 urlopen() 함수로 기상청의 전국 날씨 읽기
target = request.urlopen("http://www.kma.go.kr/weather/forecast/mid-term-rss3.jsp?stnId=108")

# 웹페이지 분석
soup = BeautifulSoup(target, "html.parser")

# location 태그 찾기
for location in soup.select("location"):
    # 내부 city, wf, tmn, tmx 태그를 찾아 출력
    print("도시:", location.select_one("city").string)
    print("날씨:", location.select_one("wf).string)
    print("최저기온:", location.select_one("tmn").string)
    print("최고기온:", location.select_one("tmx").string)
    print()
    
'''
도시: 서울
날씨: 구름많음
최저기온: 3
최고기온: 9

도시: 인천
날씨: 구름많음
최저기온: 2
최고기온: 8

도시: 수원
날씨: 구름많음
최저기온: 2
최고기온: 10
...생략...
'''

 

  📌  urllib는 URL 작업을 위한 여러 모듈을 모은 패키지 

  📌  태그를 여러개 선택할 때 select(), 한 개 선택할 때 select_one() 사용하여 값 추출

 


 

    👾  Django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웹 개발 프레임워크, Flask는 작은 기능만을 제공하는 웹 개발 프레임워크

pip install flask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
def hello():
    return "<h1>Hello World!</h1>"
# @app.route() 는 데코레이터

 

# 맥 os 에서 Flask 코드 실행 방법
export FLASK_APP=파일 이름.py
flask run
# 터미널에 입력

 

    ⚡️  프로그램 종료할 때는 Ctrl + C


4) 패키지 삭제

pip uninstall package
ex. pip uninstall numpy

 


 

2.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  라이브러리(library) : 정상적인 제어를 하는 모듈

📁  프레임워크(framework) : 제어 역전이 발생하는 모듈

    

1) 라이브러리

   - 개발자가 모듈의 기능을 호출하는 형태의 모듈

from math import sin, cos, tan, floor, ceil

 

2) 프레임워크

    - 모듈이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실행하는 형태의 모듈 

         ex. Flask 모듈이 제공하는 명령어를 실행하면  Flask가 내부적으로 서버를 실행한 뒤 지정한 파일을 읽어 들여

               적절한 상황에 스스로 실행하게 됨

    - 개발자가 만든 함수를 모듈이 실행하는 것은 제어가 역전된 것

 


 

3. 데코레이터

 

1) 함수 데코레이터

⚡️  함수에 사용하는 데코레이터

       ➡️  대상 함수의 앞뒤에 꾸밀 부가적인 내용 혹은 반복할 내용을 데코레이터로 정의해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 함수 데코레이터 생성
def test(function):
    def wrapper():
        print("인사가 시작되었습니다.")
        function()
        print("인사가 종료되었습니다.")
    return wrapper
    
# 데코레이터를 붙여 함수를 만든다
@test
def hello():
    print("hello")
    
# 함수를 호출
hello()

'''
인사가 시작되었습니다.
hello
인사가 종료되었습니다.
'''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및 책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


 

1. 모듈  module

📁  여러 변수와 함수를 가지고 있는 집합체

📁  파이썬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모듈을 '표준 모듈',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공개한 모듈을 '외부 모듈'

 


 

1) 모듈의 사용

👾 반드시 같은 디렉토리에 있어야 함
👾 모듈에 저장된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A. 모듈 전체를 가져오는 방법
          - 모듈에 저장된 '모든' 클래스나 함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
             ex. import 모듈

# import 모듈이름으로 불러옴

import converter

miles = converter.kilometer_to_miles(150)  # 모듈.함수() 형식으로 호출
print(f'150km={miles}miles')  # 150km=93.20565miles

pounds = converter.gram_to_pounds(1000)
print(f'1000g={pounds}pounds')  # 1000g=2.20462pounds

 

 

      B. 모듈에 포함된 함수 중에서 특정 함수만 골라서 가져오는 방법
            ex. from 모듈 import 함수
                   from 모듈 import 함수1, 함수2
                   from 모듈 import *

from converter import kilometer_to_miles  # 모듈은 가져오지 않고 특정 함수만 가져옴

miles = kilometer_to_miles(150)  # 모듈명을 명시하지 않고 사용
print(f'150km={miles}miles')  # 150km=93.20565miles

print()
from converter import *  # 모듈은 가져오지 않고 모듈의 모든 함수 가져옴

miles = kilometer_to_miles(150)  # 모듈명을 명시하지 않고 사용
print(f'150km={miles}miles')

pounds = gram_to_pounds(1000)
print(f'1000g={pounds}pounds')  # 모듈명을 명시하지 않고 사용

 


 

2) 별명 사용

👾  모듈이나 함수를 import 하는 경우에 원래 이름 대신 별명 alias를 지정하고 사용
👾  모듈이나 함수의 이름이 긴 경우에 주로 짧은 별명을 지정하고 긴 본래 이름 대신 사용
👾  별명을 지정할 때는 as 키워드를 사용

import converter as cvt  # converter 모듈에 cvt라는 별명을 지정

miles = cvt.kilometer_to_miles(150)  # 별명을 이용해서 함수 사용
print(f'150km={miles}miles')

pounds = cvt.gram_to_pounds(1000)
print(f'1000g={pounds}pounds')

print()
from converter import kilometer_to_miles as k_to_m  # 함수에도 별명을 지정 가능

miles = k_to_m(150)  # 함수 이름 대신 별명을 사용
print(f'150km={miles}miles')

 


 

2. math 모듈

📁  말 그대로 수학과 관련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변수 또는 함수 설명
원주율 pi 더 정확한 파이 값을 사용하기 위해
ceil() & floor() 전달된 값을 정수로 올림 처리하거나 내림 처리
trunc() 전달된 값을 정수로 절사, 양수를 처리할 때는 차이가 없지만
음수를 처리할 때는 결과의 차이가 있다
sqrt() 제곱근 구함
pow() 제곱을 구함

 

import math  # import 후 사용

# 1) 원주율 pi
print(math.pi)  # 3.141592653589793

# 2) ceil() 함수와 floor() 함수
print(math.ceil(1.1))  # 2 / 정수로 올림 처리
print(math.floor(1.9))  # 1 / 정수로 내림 처리

# 3) trunc() 함수
print(math.trunc(-1.9))  # -1 / 절사이므로 소수점 이하를 잘라버림
print(math.floor(-1.9))  # -2 / 내림이므로 -1.9 보다 작은 정수로 내림

# 4) sqrt() 함수
print(math.sqrt(25))  # 5.0 / 루트 25를 의미

 

3. random 모듈

📁  난수 random number 를 생성하는 모듈
📁  난수를 통해서 간단한 게임을 제작할 수 있고 확률 처리도 할 수 있다

변수 또는 함수 설명
randint() 전달하는 두 인수 사이의 정수를 임의로 생성
randrange() range() 함수는 특정범위의 정숫값들을 모두 생성할 수 있지만,
randrange() 함수는 그 특정 범위에 속한 정수중 하나만 임의로 생성
random() 0이상 1미만 범위에서 임의의 실수를 생성
0이상 1미만 범위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0%이상 100%미만이기 때문에 확률을 처리할 때도 사용
choice(list) 전달된 시퀀스 자료형에 속한 요소 중에서 하나를 임의로 반환
sample(list, k=<숫자>) 전달된 시퀀스 자료형에 속한 요소 중 지정된 개수의 요소를 임의로 반환
반환 결과는 리스트 list 자료형이며 중복없이 임의의 요소가 선택
shuffle(list) 전달된 시퀀스 자료형에 속한 요소의 순서를 임의로 조정하여 다시 재배치하는 함수
호출하면 실제 전달된 시퀀스 자료형의 순서가 재배치

 

import random

# 1) randint() 함수
print(random.randint(1,10))  # 1이상 10이하의 정수

# 2) randrange() 함수
print(random.randrange(10))  # 0이상 10미만의 정수
print(random.randrange(1,10))  # 1이상 10미만의 정수
print(random.randrange(1,10,2))  # 1이상 10미만의 홀수

# 3) random() 함수
print(random.random())  # 0.1859815803780659

# 50% 확률로 '안녕하세요' 출력
if random.random() < 0.5:
    print('안녕하세요')

rand = random.randint(1,2)
print(rand)
if rand == 1:
    print('안녕하세요')

# 4) choice() 함수
seasons = ['spring', 'summer', 'fall', 'winter']
print(random.choice(seasons))  # fall

idx = random.randint(0, len(seasons) - 1)
print(seasons[idx])

# 5) sample() 함수
print(random.sample(range(1, 46), 6))  # [36, 4, 14, 35, 12, 16]

seasons = ['spring', 'summer', 'fall', 'winter']
print(random.sample(seasons, 3))
seasons = ['summer', 'summer', 'summer', 'winter']
print(random.sample(seasons, 3))

# 6) shuffle() 함수
my_list = [1, 2, 3, 4, 5]
random.shuffle(my_list)
print(my_list)  # [4, 2, 3, 1, 5]

 


 

4. sys 모듈

📁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모듈

📁  명령 매개변수를 받을 때 많이 사용

import sys

# 명령 매개변수 출력
print(sys.argv)  # ['/Users/Desktop/pycharm/pythonProject/book/1.py']
print("----")

# 컴퓨터 환경과 관련된 정보 출력
print("copyright:", sys.copyright)  
print("----")
print("version:", sys.version)
'''
copyright: Copyright (c) 2001-2023 Python Software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 생략 ...
----
version: 3.10.13 (main, Sep 11 2023, 08:16:02) [Clang 14.0.6 ]
'''

# 프로그램 강제 종료
sys.exit()

 


 

5. os 모듈

📁  운영체제와 관련된 기능을 가진 모듈

import os

# 기본 정보 출력
print("현재 운영체제:", os.name)
print("현재 폴더:", os.getcwd())
print("현재 폴더 내부의 요소:", os.listdir())
'''
현재 운영체제: posix
현재 폴더: /Users/Desktop/pycharm/pythonProject/book
현재 폴더 내부의 요소: ['1.py']
'''
# 폴더 만들고 제거(폴더가 비어있을 때만 가능)
os.mkdir("hello")
os.rmdir("hello")

# 파일 생성하고 파일 이름 변경
with open("original.txt", "w") as file:
    file.write("hello")
os.rename("original.txt", "new.txt")

# 파일 제거
os.remove("new.txt")

# 시스템 명령어 실행
os.system("dir")

 


 

6. datetime 모듈

📁  날짜와 시간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

변수 또는 함수 설명
now() 시스템의 현재 날짜와 시간을 반환
date() 특정 날짜를 반환
time() 특정 시간을 반환
날짜/시간 관련 필드값 특정 날짜에 원하는 데이터만 추출하고자 할때 이용
timedelta() 날짜 / 시간 데이터의 연산을 위하여 사용
total_seconds() 어떤 기간에 포함된 총 시간의 초 seconds 로 반환

 

import datetime

# 1) now() 메소드
present = datetime.datetime.now()
print(present)

# 2) date() 함수
birthday = datetime.date(2014, 8, 25)
print(birthday)  # 2014-08-25

# 3) time() 함수
wake = datetime.time(10, 48, 0)
print(wake)  # 10:48:00

# 4) 날짜 / 시간 관련 필드값
today = datetime.datetime.now()
print(today.year)  # 년도
print(today.month)  # 월
print(today.day)  # 일
print(today.hour)  # 시
print(today.minute)  # 분
print(today.second)  # 초

# 5) timedelta() 함수
# 1주 : timedelta(weeks=1)
# 1일 : timedelta(days=1)
# 1시간 : timedelta(hours=1)
# 1분 : timedelta(minutes=1)
# 1초 : timedelta(seconds=1)

today = datetime.datetime.now()
yesterday = today - datetime.timedelta(days=1)  # 어제 구함
tomorrow = today + datetime.timedelta(days=1)  # 내일 구함
print(yesterday)
print(tomorrow)

# 6) total_seconds() 메소드
date1 = datetime.date(2020, 8, 25)
date2 = datetime.date(2020, 8, 26)
print(date2 - date1)  # 1 day, 0:00:00
print((date2 - date1).total_seconds())  # 86400.0 = 60초 * 60분 * 24시간

 


 

7. time 모듈

📁  시간과 관련된 기능 처리

변수 또는 함수 설명
time() 1970년 1월 1일 0시 0분 0초 부터 현재까지 경과된 시간 timestamp을 반환
소수점 이하는 마이크로 초를 의미
ctime() 인수로 전달된 시간 timestamp을 형식에 갖춰 반환
strftime() 인수로 전달된 날짜와 지시자를 이용하여 형식을 갖춘 날짜 데이터가 문자열로 반환
sleep() 인수로 전달된 초 second 만큼 시스템을 일시 정지

 

import time

# 1) time() 함수
print(time.time())  # 1645240996.2733545

# 2) ctime() 함수
print(time.ctime(time.time()))  # Sat Feb 19 12:23:16 2022

# 3) strftime() 함수
# 년 : %y : 2자리 날짜로 표시
# 년 : %Y : 4자리 날짜로 표시
# 월 : %m : 2자리 숫자로 표시 (01 ~ 12)
# 월 : %b : 3자리 영문으로 표시 (Jan ~ Dec)
# 월 : %B : 전체 영문으로 표시 (January ~ December)
# 일 : %d : 2자리 숫자로 표시 (01 ~ 31)
# 요일 : %a : 3자리 영문으로 표시 (Sun ~ Sat)
# 요일 : %A : 전체 영문으로 표시 (Sunday ~ Saturdy)
# 시 : %l : 12시간제로 표시 (01 ~ 12)
# 시 : %H : 24시간제로 표시 (00 ~ 23)
# 분 : %M : 2시간제로 표시 (00 ~ 59)
# 초 : %S : 2시간제로 표시 (00 ~ 59)
# 오전 / 오후 : %p : AM 또는 PM
print(time.strftime('%Y-%m-%d %H:%M:%S'))

# 4) sleep() 함수
time.sleep(1)

 


 

8.  urllib 모듈

📁  URL을 다루는 라이브러리

📁  URL : Uniform Rssource Locator, 네트워크의 자원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것

       ▶️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하는 주소

from urllib import request

# urlopen() 함수로 구글 메인페이지를 읽습니다
target = request.urlopen("https://google.com")
output = target.read()

# 출력합니다
print(output)

'''
b'<!doctype html><html itemscope="" itemtype="http://schema.org/WebPage" 
lang="ko"><head><meta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생략 ...
'''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및 책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


 

1. 튜플  tuple

 

📁  리스트와 비슷한 자료형이나 한번 결정된 요소를 바꿀 수 없다는 것이 다르다.

       ➡️  이미 저장된 값 이외에는 추가, 수정, 삭제가 불가능

📁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각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인덱스가 부여되고 슬라이싱도 지원
📁  튜플은 소괄호() 나 tuple() 함수를 이용해서 생성
📁  값들을 콤마(,)로 분리하여 전달하면 자동으로 튜플이 생성

t1 = (1,2,3)
print(t1)  # (1,2,3)

# 괄호 없이 사용 가능
t2 = 1,2,3
print(t2)  #(1,2,3)

def sample():
   return (1,2)

print(sample())  #(1, 2)
# 값이 2개 반환된 것이 아니라 튜플을 자동으로 적용해서 반환함

# 리스트를 튜플로 변경
t3 = tuple([100, 3.14, 'hello'])
print(t3)  # (100, 3.14, 'hello')

# 값을 1개만 보관하는 튜플을 생성할 경우에는 값과 콤마(,)를 반드시 함께 작성
t4 = (100)
print(t4)  # 100  / 값으로 인식
print(type(t4))  # <class 'int'>

t5 = (100, )
print(t5)  # (100, ) / 튜플로 인식
print(type(t5))  # <class 'tuple'>

# 값을 swap 교환
a = 10
b = 20
print(a, b)  # 10 20
a, b = b, a  # (a, b) = (b, a)
print(a, b)  # 20 10

a, b = 100, '홍길동'
print(a)  # 100
print(b)  # 홍길동

 

 


 

2. 람다  lambda

 

📁  함수를 짧게 쓸 수 있는 파이썬의 문법

 

1)  콜백 함수  callback function

    ⚡️  함수의 매개변수에 사용하는 함수

# 매개변수로 받은 함수를 10번 호출하는 함수
def call_10_times(func):
    for i in range(10):
        func()
        
# 간단한 출력하는 함수
def print_hello():
    print("안녕하세요")
    
# 조합하기
call_10_times(print_hello)
# -> print_hello() 함수를 10번 실행

 


 

2) filter() 함수와 map() 함수

⚡️  함수를 매개변수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표준함수

⚡️  map() 함수는 리스트의 요소를 함수에 넣고 리턴된 값으로 새로운 리스트를 구성

⚡️  filter() 함수는 리스트의 요소를 함수에 넣고 리턴된 값이 True인 것으로, 새로운 리스트를 구성

# map()
map(함수, 리스트)

# filter()
filter(함수, 리스트)
def power(item):
    return item * item
def under_3(item):
    return item < 3

list_input_a = [1, 2, 3, 4, 5]

# map() 사용
output_a = map(power, list_input_a)
print(output_a)  # <map object at 0x104c228f0>
print(list(output_a))  # [1, 4, 9, 16, 25]

# filter() 사용
output_b = filter(under_3, list_input_a)
print(output_b)  # <filter object at 0x104c22800>
print(list(output_b))  # [1, 2]

 

  👾  <map object> 와 <filter object> 를 제너레이터라고 부른다.

 


 

3) 람다의 개념

⚡️  간단한 함수를 쉽게 선언하는 방법을 뜻함

# 기본형식
lambda 매개변수: 리턴값
list_input_a = [1, 2, 3, 4, 5]

# map() 함수
output_a = map(lambda x: x * x, list_input_a)
print(output_a)  # <map object at 0x102d12860>
print(list(output_a))  # [1, 4, 9, 16, 25]

# filter() 함수
output_b = filter(lambda x: x < 3, list_input_a)
print(output_b)  # <filter object at 0x102d61810>
print(list(output_b))  # [1, 2]

 


 

3. 제너레이터  generator

📁  이터레이터를 직접 만들 때 사용하는 코드

📁  함수 내부에 yield 키워드를 사용하면 해당 함수는 제너레이터 함수가 된다.

📁  일반 함수와 달리 함수를 호출해도 함수 내부의 코드가 실행되지 않는다.

 

def test():
    print("함수가 호출되었습니다")
    yield "test"
    
print("A 지점 통과")  # A 지점 통과
test()

print("B 지점 통과")  # B 지점 통과
test()
print(test())  # <generator object test at 0x104ceda10>

 

  📌  위 예제에서 test()함수는 출력되지 않고, 제너레이터를 리턴한다.

  📌  제너레이터 객체는 next() 함수를 사용해 함수 내부 코드를 실행한다.

          ➡️  이때 yield 키워드 부분까지만 실행하며, next() 함수의 리턴값으로 yield 키워드 뒤에 입력한 값이 출력된다

 

def test():
    print("A 지점 통과")
    yield 1
    print("B 지점 통과")
    yield 2
    print("C 지점 통과")
  
output = test()

# next() 함수 호출
print("D 지점 통과")
a = next(output)
print(a)
print("E 지점 통과")
b = next(output)
print(b)
print("F 지점 통과")
c = next(output)
print(c)

next(output)

 

 

 

📌  next()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함수 내부의 내용이 진행

📌  next() 함수를 호출한 이후 yield 키워드를 만나지 못하고 함수가 끝나면 StopIteration 이라는 예외가 발생

 

 

 

 

 

 

 

 

 

[ 내용참고 : 책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


1. 재귀함수

1) 팩토리얼  factorial

 n ! = n * (n-1) * (n-2) * ... * 1

 

 👾  이러한 팩토리얼을 구하는 방법은 2가지로 구분

       a. 반복문 사용

       b. 재귀 함수 사용

 

A. 반복문으로 팩토리얼 구하기

def factorial(n):
    output = 1
    for i in range(1, n+1):
        output *= i
    return output

print("1!:", factorial(1))
print("2!:", factorial(2))
print("3!:", factorial(3))
print("4!:", factorial(4))
'''
1!: 1
2!: 2
3!: 6
4!: 24
'''

 

 

B. 재귀 함수로 팩토리얼 구하기

   - 재귀 recursion 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것'을 의미

f(4) = 4 * f(3)
     = 4 * 3 * f(2)
     = 4 * 3 * 2 * f(1) * f(0)
     = 4 * 3 * 2 * 1 * 1
def factorial(n):
    if n == 0:
        return 1
    else:
        return n * factorial(n-1)
        
print("1!:", factorial(1))
print("2!:", factorial(2))
print("3!:", factorial(3))
print("4!:", factorial(4))

 


 

2. 피보나치 수열  Fibonacci numbers

 

👩🏻‍💻  피보나치 수를 처음 연구한 것은 레오나르도 피오나치로 토끼 수의 증가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이 수에 대해 언급했다 

   

  📌  n 번째 달의 토끼 수

  • 첫 달에는 새로 태어난 토끼 한 쌍만이 존재한다.
  • 두 달 이상이 된 토끼는 번식 가능하다.
  • 번식 가능한 토끼 한 쌍은 매달 새끼 한 쌍을 낳는다.
  • 토끼는 죽지 않는다.

출처 : commons.wikimedia.org

 

 

    📌  1번째 수열 = 1

           2번째 수열 = 1

           n번째 수열 = (n-1)번째 수열 + (n-2)번째 수열

 

def fibonacci(n):
    if n == 1:
        return 1
    if n == 2:
        return 1
    else:
        return fibonacci(n-1) + fibonacci(n-2)
        
print("fibonnaci(1):", fibonacci(1))
print("fibonnaci(2):", fibonacci(2))
print("fibonnaci(3):", fibonacci(3))
print("fibonnaci(4):", fibonacci(4))
'''
fibonnaci(1): 1
fibonnaci(2): 1
fibonnaci(3): 2
fibonnaci(4): 3
'''

 

count = 0

def fibonacci(n):
    print("fibonacci({})를 구합니다.".format(n))
    global count
    count += 1
    
    if n == 1:
        return 1
    if n == 2:
        return 1
    else:
        return fibonacci(n-1) + fibonacci(n-2)
        
 fibonacci(10)
 print("---")
 print("fibonacci(10) 계산에 활용된 덧셈 횟수는 {}번입니다.".format(count))
 '''
fibonacci(10)를 구합니다.
fibonacci(9)를 구합니다.
...생략...
fibonacci(1)를 구합니다.
fibonacci(2)를 구합니다.
---
fibonacci(10) 계산에 활용된 덧셈 횟수는 109번입니다.
'''

 

💡  위와 같이 덧셈 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이유

 

 

 👾  다음과 같은 형태의 그림을 트리 tree 라고 한다.

 👾  트리에 있는 각각의 지점을 노드 node, 마지막 단계의 노드를 리프 leaf 

     ➡️  트리 내부에 있는 각각의 노드 값을 계산하려면 덧셈을 한 번씩 해야 함

      ➡️  한 번 구한 값은 그것으로 계산이 끝나는 게 아니라,

            한 번 구했던 값이라도 처음부터 다시 계산해야 함

      ➡️  이 때문에 계산 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것

 

 


 

💡 위의 예제에서 global count를 쓰는 이유

   

    - 파이썬은 함수 내부에서 함수 외부에 있는 변수를 참조하지 못한다.

    - 함수 내부에서 함수 외부에 있는 변수라는 것을 설명하려면 다음과 같은 구문을 사용해야 UnboundLocalError가 발생하지 않는다.

global 변수 이름

 


 

3. 메모화

👩🏻‍💻  한 번 계산한 값을 저장해 놓은 후, 이후에 다시 계산하지 않고 저장된 값을 활용하는 기술

# 메모 변수 생성
dic = {
    1: 1,
    2: 1
}

def fibonacci(n):
    if n in dic:
        # 메모가 되어 있으면 메모된 값을 리턴
        return dic[n]
    else:
        # 메모가 되어 있지 않으면 값을 구함
        output = fibonacci(n-1) + fibonacci(n-2)
        dic[n] = output
        return output
# 함수 호출        
print("fibonnaci(10):", fibonacci(10))
print("fibonnaci(20):", fibonacci(20))
print("fibonnaci(30):", fibonacci(30))
print("fibonnaci(40):", fibonacci(40))

 

 

👾  딕셔너리를 사용해서 한 번 계산한 값을 저장, 이를 메모한다고 표현

👾  딕셔너리에 값이 메모되어 있으면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곧바로 메모된 값을 돌려주면서 코드 속도를 빠르게 만든다.

 


 

4. 리스트 평탄화

👩🏻‍💻  중첩된 리스트가 있을 때 중첩을 모두 제거하고 풀어서 1차원 리스트로 만드는 것을 의미

 

def flatten(data):
    output = []
    for item in data:
        if type(item) == list:
            output += flatten(item)
        else:
            output.append(item)
    return output
    
 example = [[1,2,3], [4,[5,6]], 7, [8, 9]]
 print(flatten(example))
 # [1, 2, 3, 4, 5, 6, 7, 8, 9]

 

  ⚡️  append() 함수는 매개변수 하나를 리스트의 마지막 요소로 추가

         ➡️ append(리스트_자료형) 형태로 리스트를 전달하면 리스트 전체가 하나의 요소로서 추가됨

  ⚡️  += 연산자는 오른쪽에 있는 '리스트의 요소'를 하나하나 리스트에 추가

 

 

 

 

 

[ 내용 참고 : 책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1. 함수란 ?

🚀  '코드의 집합'을 의미 def 키워드 사용함

🚀   함수 용어 정리
        a. 인수 : 함수에 전달할 입력(input)을 의미. argument
        b. 매개변수 : 인수를 받아서 저장하는 변수를 의미. parameter
        c. 반환값 : 함수의 출력(output)을 의미. return
        d. 함수 호출 : 만들어진 함수를 실제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

def 함수이름(매개변수):
    본문
    return 반환값
    
# 함수이름을 개발자가 마음대로 결정가능
# 매개변수, 반환값은 필수 사항이 아님

# 함수 호출
변수 = 함수이름(인수)
# 함수의 호출 결과를 저장할 변수를 생략 가능

 

  ⚡️  4가지 함수 호출 형태


       1) 인수: x, 반환값: x
           함수이름()
       2) 인수: o, 반환값: x
           함수이름(인수)
       3) 인수: x, 반환값: o
           변수 = 함수이름()
       4) 인수: o, 반환값: o
           변수 = 함수이름(인수)


# welcome() 함수 정의
def welcome():
    print('Hello Python')
    print('Nice to meet you')

welcome()  # 함수가 정의된 후에 호출을 해야 함
# Hello Python
# Nice to meet you

# 파이썬 함수의 단점 : 데이터 타입이 없어서 다른 작업자가 만든 함수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이 많다.
def process(number):
    return number / 1

process("hello")  # TypeError: unsupported operand type(s) for /: 'str' and 'int'

# 어노테이션 사용 가능. 타입 강제는 아님
def process(number: int) -> float:
    return number / 1

# 파이썬의 함수는 객체이고 자료형이다.
def charge(energy):
    if energy < 0:
        print('0보다 작은 에너지를 충전할 수 없습니다.')
        return  
    print('에너지가 충전되었습니다.')
    
print(charge)  
# <function charge at 0x10360dcf0>

def print_charge(fun):
    fun(0)  # 에너지가 충전되었습니다.

print_charge(charge)  # 함수를 함수 호출시 인수로 사용이 가능.

# 함수안에 함수 선언도 가능하다.
def print_greet(name):
    def get_greet():
        return '안녕하세요'

    print(name + "님 " + get_greet())

print_greet('김철수')

 

2. 인수와 매개변수

 

1) 인수가 있는 함수

def introduce(name: str, age: int) -> None:
    print(f'내 이름은 {name}이고, 나이는 {age}살 입니다.')

introduce('james', 25)  # 내 이름은 james이고, 나이는 25살 입니다.
introduce(age=25, name='james')  # 내 이름은 james이고, 나이는 25살 입니다.

 


 

2) 가변 매개변수

🚀  함수로 전달해야 하는 인수의 개수가 정해지지 않아도 매개변수를 선언할 수 있음
🚀  가변 매개변수를 만드는 키워드는 애스터리스크(*)
🚀  매개변수 앞에 *를 붙이면 곧바로 가변 매개 변수가 되면서 전달되는 모든 인수를 하나의 튜플(tuple)로 만들어 줌

def show(*args):
    for item in args:
        print(item)

show('python')  # show 함수 호출. 인수가 1개
show('happy', 'birthday')  # show 함수 호출. 인수가 2개

def print_n(n, *values):
    for i in range(n):
        for value in values:
            print(value)
        print()
print_n(3, "안녕하세요", "파이썬 프로그래밍")
'''
안녕하세요
파이썬 프로그래밍

안녕하세요
파이썬 프로그래밍

안녕하세요
파이썬 프로그래밍
'''

 

  👾  가변 매개변수 뒤에 일반 매개변수 올 수 x

  👾  가변 매개변수는 하나만 사용 가능

 


 

3) 기본 매개변수

 

print(value, sep=' ', end='\n', file=sys.stdout)

 

🚀  가장 앞에 있는 value가 '가변 매개변수', 뒤에 '매개변수 = 값'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기본 매개변수'

🚀  매개변수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매개변수에 들어가는 기본값을 말한다

🚀  기본 매개변수 뒤에 일반 매개변수가 올 수 없다

 

    ⚡️  end : value 출력 후 출력할 문자
                       ▶️ end 속성을 사용하지 않고 print() 함수를 사용하면 출력 후 자동으로 줄 바꿈이 진행
    ⚡️  sep : 출력할 value의 구분자
                       ▶️ sep 속성을 사용하지 않고 print() 함수를 사용하면 출력 대상은 공백으로 구분
    ⚡️  file : 출력 방향 지정
                       ▶️ file 속성을 사용하지 않고 print() 함수를 사용하면 출력 대상은 모니터에 출력

print('재미있는','파이썬') # sep 값을 지정하지 않으면 공백이 들어감.
print('재미있는', '파이썬', sep=' ') # 재미있는 파이썬 / 콤마(,)로 구분된 출력 대상은 공백으로 구분
print('Python','Java', 'C', sep=':') #Python:Java:C / sep 속성으로 구분
'''
재미있는 파이썬
재미있는 파이썬
Python:Java:C
'''

print('영화 타이타닉', end='\n') # 지정하지 않았을 때 기본값은 \n
print('평점', end=':')
print('5점') # 평점:5점 / value 출력 후 end 속성 출력. 줄 바꿈이 되지 않음
'''
영화 타이타닉
평점:5점
'''

fos = open('../02_21/sample.py', mode='wt')
print('print("Hello World")', file = fos) # file 속성으로 대상 출력. 파일 출력
fos.close()

 


 

4) 키워드 매개변수

 A. 기본 매개변수가 가변 매개변수보다 앞에 오는 경우

     - 기본 매개변수의 의미가 사라진다.

def print_n(n=2, *values):
    for i in range(2):
        for value in values:
            print(value)
            
print_n('안녕하세요','즐거운','파이썬 프로그래밍')
# TypeError 발생

 

    📌  n에는 안녕하세요가 들어가고, values에 즐거운, 파이썬 프로그래밍이 들어간다

    📌  range() 함수의 매개변수에는 숫자만 가능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

           ∴  기본 매개변수는 가변 매개변수 앞에 써도 의미가 없다.

 

 

  B. 가변 매개변수가 기본 매개변수보다 앞에 오는 경우

def print_n(*values, n=2):
    for i in range(2):
        for value in values:
            print(value)
            
print_n('안녕하세요','즐거운','파이썬 프로그래밍', 3)

 

 

📌  가변 매개변수가 우선이 되기 때문에 왼쪽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C. 키워드 매개변수

     - 매개변수 이름을 지정해서 입력하는 매개변수를 키워드 매개변수라고 한다

def print_n(*values, n=2):
    for i in range(2):
        for value in values:
            print(value)
            
print_n('안녕하세요','즐거운','파이썬 프로그래밍', n=3)
# n=3은 키워드 매개변수

 


 

5) 디폴트 매개변수

🚀  매개변수로 전달되는 인수가 없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매개변수에 기본값을 설정할 수 있음

def greet(message='안녕하세요'):
    print(message)

greet('반갑습니다')  # 반갑습니다
greet()  # 안녕하세요
# -> 자바에서는 오버로딩이라 생각함. 파이썬에는 오버로딩 지원 x.

# 디폴트 매개변수와 일반 매개변수를 같이 사용하는 경우 디폴트 매개변수를 뒤(오른쪽)으로 배치
def greet(name, message= '안녕하세요'):
    print(f'{name}님 {message}')

greet('김철수')  # 김철수님 안녕하세요.
greet('김철수', '반갑습니다')  # 김철수님 반갑습니다

# 복수의 디폴트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경우
def greet(name='이철수', message='안녕하세요'):
    print(f'{name}님 {message}.')

greet()  # 이철수님 안녕하세요.
greet('김철수')  # 김철수님 안녕하세요. / 왼쪽 부터 적용.
greet('김철수', '반갑습니다')  # 김철수님 반갑습니다.

 


 

3. 리턴

🚀  함수 호출 결과를 반환값(return value)이라 한다.
🚀  반환값이 있으면 함수 내부에서 return문을 통해 값을 반환할 수 있고,
      반환값이 없으면 함수 내부에 return문을 작성할 필요가 없음

def address():
    string = '우편번호 12345\n'
    string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return string

print(address())
''' 
실행결과)
우편번호 12345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

def address():
    string = '우편번호 12345\n'
    string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print(string)

print(address())  # None : 반환값이 없어서 출력이 안됨

 


 

1)  다중 반환

  👾  하나의 반환값도 처리할 수 있고 여러 개의 반환값도 처리할 수 있음

def calculator(*args):
    return sum(args), sum(args) / len(args), max(args), min(args)

a, b, c, d = calculator(1, 2, 3, 4, 5)  # 4개의 반환값을 모두 저장하기 위해서 변수 4개 배치
print('합계', a)  # 합계 15
print('평균', b)  # 평균 3.0
print('최댓값', c)  # 최댓값 5
print('최솟값', d)  # 최솟값 1

# result는 4개의 반환값을 저장하는 튜플.
result = calculator(1, 2, 3, 4, 5)
print('합계', result[0])  # 합계 15
print('평균', result[1])  # 평균 3.0
print('최댓값', result[2])  # 최댓값 5
print('최솟값', result[3])  # 최솟값 1

 



2) 함수의 종료를 위한 return

  - 반환값이 있으면 return문을 사용해 반환하고, 반환값이 없으면 return문을 생략하면 됨

def charge(energy):
    if energy < 0:
        print('0보다 작은 에너지를 충전할 수 없습니다.')
        return  # charge() 함수의 종료를 의미.
    print('에너지가 충전되었습니다.')

charge(1)   # 에너지가 충전되었습니다.
charge(-1)  # 0보다 작은 에너지를 충전할 수 없습니다.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자료 및 책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

 


 

1. 내장 함수란?

👾  파이썬 인터프리터에는 항상 사용할 수 있는 많은 함수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를 내장 함수 built-in function 이라고 함
👾  외부에 따로 저장해 둔 모듈에서 불러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import가 필요 없음

 


 

2. 문자 내장 함수

chr() 특정 문자의 유니코드 값을 전달하면 해당 유니코드 값을 가진 문자를 반환하는 함수
  ▶️ 유니코드의 유효범위 0 ~ 1,114,111 / 아스키코드의 유효 범위 0 ~ 127
ord() 문자를 전달하면 해당 문자의 유니코드 값을 반환
eval() 실행하고자 하는 표현식(expression) 을 문자열로 전달하면 표현식의 결과값을 반환
format() 전달받은 인수와 포맷 코드에 따라 형식을 갖춘 문자열을 반환
   ▶️ 포맷 코드를 전달하지 않으면 str()을 호출한 것과 같음
str() 전달받은 인수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반환
# chr()
print(chr(48))  # 0
print(chr(49))  # 1
print(chr(65))  # A
print(chr(66))  # B
print(chr(97))  # a
print(chr(98))  # b

# ord()
print(ord('A'))  # 65
print(ord('한'))  # 54620

# eval()
print(eval('100 + 200'))  # 300
a = 10
print(eval('a * 5'))  # 50
print(eval('min(1, 2, 3)'))  # 1

# format()
print()
print(format(10000))  # 10000 / str(10000)과 같음
print(format(10000, '_'))  # 10_000 / 천단위 구분 기호로 밑줄(_)을 사용
print(format(10000, ','))  # 10,000 / 천단위 구분 기호로 쉼표(,)를 사용

 


 

3. 숫자 내장 함수

abs() 전달된 인수 (정수 혹은 실수)의 절대값을 반환
divmod() 전달된 두 인수를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한 쌍의 결과로 반환. 몫과 나머지는 하나의 튜플(tuple)로 반환
float() 전달된 인수(숫자 또는 문자열)를 실수로 만들어 반환. 전달된 인수가 없는 경우에는 0.0을 반환
int () 전달된 인수(숫자 또는 문자열)를 정수로 만들어 반환. 전달된 인수가 없는 경우에는 0을 반환
max() 전달된 인수 중 가장 큰 값을 반환
min() 전달된 인수 중 가장 작은 값을 반환
pow() 전달된 두 인수의 거듭제곱을 반환. 연산자 중에서 거듭 제곱 연산자 ** 와 같음
round()  전달된 인수를 이용해 반올림한 값을 반환
  ▶️ 전달된 인수가 하나이면 정수로 반올림한 값을 반환
  ▶️ 전달된 인수가 2개이면 두 번째로 전달한 인수만큼 소수점을 남겨둠
sum()  전달된 리스트나 튜플과 같은 반복가능객체의 합계를 반환
  ▶️ 숫자가 아닌 값을 전달하면 에러가 발생
# abs()
print(abs(10))  # 10
print(abs(-10))  # 10

# divmod()
print(divmod(10, 3))  # (3, 1)
print(type(divmod(10, 3)))  # <class 'tuple'>

# max()
print(max(1,10))  # 10
li = [5, 3, 4, 2, 1]
print(max(li))  # 5

# min()
print(min(1,10))  # 1
li = [5, 3, 4, 2, 1]
print(min(li))  # 1

# pow()
print(pow(10, 2))  # 100
print(pow(10, 3))  # 1000
print(pow(10, -2))  # 0.01
print(pow(10, -3))  # 0.001

# round()
print(round(1.5))  # 2
print(round(1.4))  # 1
print(round(1.55, 1))  # 1.6
print(round(2.675, 2))  # 2.67 -> 부동 소수점 에러로 인해 2.68이 아니라 2.67이 반환
print(round(2.6755, 2))  # 2.68

# sum() 
list1 = [1, 2, 3, 4, 5]
print(sum(list1))  # 15

list2 = ['h', 'e', 'l', 'l', 'o']
# print(sum(list2))

 


 

3. 시퀀스 내장 함수

enumerate() 리스트에 저장된 요소와 해당 요소의 인덱스가 튜플 tuple 형태로 함께 추출
range() 전달된 인수값에 따라 시퀀스 자료형의 데이터를 생성
  1) range(stop) : 0부터 stop 사이의 모든 정수
  2) range(start, stop) : start부터 stop 사이의 모든 정수
  3) range(start, stop, step) : start부터 stop 사이의 정수 중에서 step만큼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 정수
len() 함수에 전달된 객체의 길이(항목 수)를 반환
sorted() 전달된 반복가능객체의 오름차순 정렬 결과를 반환
reverse=True 옵션을 추가할 경우 내림차순 정렬 결과를 반환
zip() 전달된 여러 개의 반복가능객체의 각 요소를 튜플로 묶어서 반환
전달된 반복가능객체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면 길이가 짧은 반복가능객체 기준으로 동작
reversed() 리스트에서 요소의 순서를 뒤집어서 반환
 ▶️ 리턴 값 'reverseiterator' : 요소 하나하나 꺼내기 위해 next() 함수 사용해야 함
items() 딕셔너리에서 items() 함수를 사용하면 키와 값을 조합해서 반복문 작성
# 1. enumerate()
# for item in enumerate([리스트]) :
#   반복실행문

for item in enumerate(['가위', '바위', '보']):
    print(item)
    
# (0, '가위')
# (1, '바위')
# (2, '보')

for idx, element in enumerate(['가위', '바위', '보']):
    print(idx, ' / ', element)
# 0  /  가위
# 1  /  바위
# 2  /  보

# 2. range()

print(list(range(10))) # [0, 1, 2, 3, 4, 5, 6, 7, 8, 9]
print(list(range(1, 11))) # [1, 2, 3, 4, 5, 6, 7, 8, 9, 10]
print(list(range(0, 30, 5))) # [0, 5, 10, 15, 20, 25]
print(list(range(0, -10, -1))) # [0, -1, -2, -3, -4, -5, -6, -7, -8, -9]
print(list(range(0))) # []

# 3. len()
li = ['a', 'b', 'c', 'd']
print(len(li))  # 4

d = {'a': 'apple', 'b': 'banana'}
print(len(d))  # 2 / 딕셔너리는 '키:값'으로 구성된 한 쌍을 하나의 데이터로 봄

print(len(range(10)))  # 10 / range() 함수로 생성되는 값은 0, 1, 2, 3, 4, 5, 6, 7, 8, 9
print(len(range(1, 10)))  # 9 / range() 함수로 생성되는 값은 1, 2, 3, 4, 5, 6, 7, 8, 9

# range() 함수와 리스트의 길이를 구하는 len() 함수를 함께 사용하면 리스트의 인덱스를 생성 가능
seasons = ['봄', '여름', '가을', '겨울']
seasons_eng = ['spring', 'summer', 'fall', 'winter']
for idx in range(len(seasons)):
    print(f'{seasons[idx]} / {seasons_eng[idx]}')

# 4. sorted() 
my_list2 = ['b', 'c', 'a', 'd']
print(sorted(my_list2))  # ['a', 'b', 'c', 'd']
print(sorted(my_list2, reverse=True))  # ['d', 'c', 'b', 'a']

print(sorted(my_list))  # [1, 2, 3, 4, 5, 6]
print(my_list)  # [6, 3, 1, 2, 5, 4] / 실제로 정렬이 된건 아님

my_list = sorted(my_list)  # 오름차순 정렬 결과를 덮어쓰기
print(my_list)  # [1, 2, 3, 4, 5, 6]

# 5. zip() 
names = ['james', 'emily', 'amanda']
scores = [60, 70, 80]
for student in zip(names, scores):
    print(student)
# ('james', 60)
# ('emily', 70)
# ('amanda', 80)

# 튜플은 언패킹이 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은 모습으로 구성 가능
for name, score in zip(names, scores):
    print(f'{name}의 점수는 {score}입니다.')
# james의 점수는 60입니다.
# emily의 점수는 70입니다.
# amanda의 점수는 80입니다.

for idx, name in enumerate(names):
    print(f'{name}의 점수는 {scores[idx]}입니다.')

for idx in range(len(names)):
    print(f'{names[idx]}의 점수는 {scores[idx]}입니다.')
  
6. reversed()
list_a = [1, 2, 3, 4, 5]
print(list(reversed(list_a)))
# [5, 4, 3, 2, 1]

# 7. items()
dic_ex = {
    'james': 60,
    'emily': 70,
    'amanda': 80
}
print(dic_ex.items())
# dict_items([('james', 60), ('emily', 70), ('amanda', 80)])

 


 

⚡️ 월과 일수 조합해서 반환하는 문제

months_eng = ['January', 'February', 'March', 'April', 'May', 'June', 'July',
              'August', 'September', 'October', 'November', 'December']
months = [31, 28, 31, 30, 31, 30, 31, 31, 30, 31, 30, 31]

# 1. range() 사용
for idx in range(len(months)):
    print(f'{months_eng[idx]} = {months[idx]}일')

# 2. enumerate() 사용
for i, v in enumerate(months_eng):
    print(f'{v} = {months[i]}일')

print()

# 3. dict 사용
months_dic = dict()
for i, v in enumerate(months_eng):
    months_dic.update({v: months[i]})

for k, v in months_dic.items():
    print(f'{k} = {v}일')

# 4. zip() 사용
for item1, item2 in zip(months_eng), months:
    print(f'{item1} = {item2}일')

 


 

4. 리스트 내포  list comprehensions

 

리스트 이름 = [표현식 for 반복자 in 반복할 수 있는 것]
리스트 이름 = [표현식 for 반복자 in 반복할 수 있는 것 if 조건문]
# 예시 1.
array = [i*i for i in range(0, 20, 2)]
print(array)
# [0, 4, 16, 36, 64, 100, 144, 196, 256, 324]

# 예시 2.
array = ['사과', '자두', '바나나', '체리']
output = [fruit for fruit in array if fruit != '체리']
print(output)
# ['사과', '자두', '바나나']

 


 

💡  이터레이터 iterator ?

for 반복자 in 반복할 수 있는 것

 

    -  반복할 수 있는 것을 프로그래밍 용어로 이터러블 iterable 이라고 함

         ➡️ 즉, 내부에 있는 요소들을 차례차례 꺼낼 수 있는 객체를 의미

    -  리스트, 딕셔너리, 문자열, 튜플 등 

    -  이 중에서 next() 함수를 적용해 하나하나 꺼낼 수 있는 요소를 이터레이터 iterator 라고 함

numbers = [ 1, 2, 3, 4, 5]
num = reversed(numbers)

print("num : ", num)
print(next(num))
print(next(num))
print(next(num))
print(next(num))
print(next(num))

#5
#4
#3
#2
#1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및 책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