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hile 문

1) 일반적인 while 반복문


👩🏻‍💻  for문과는 다르게 증감되는 인덱스가 있으면 코드에서 직접 처리해야 함

fun main() {
    // current 변수가 인덱스의 역할
    var current = 1
    val until = 12
    while (current < until) {
        println("현재 값은 ${current}입니다.")
        current++
    }
}
/*
현재 값은 1입니다.
현재 값은 2입니다.
현재 값은 3입니다.
...
현재 값은 9입니다.
현재 값은 10입니다.
현재 값은 11입니다.
*/


2) do와 함께 사용하기


👩🏻‍💻  do와 함께 사용하면 while 문의 조건식과 관계없이 do 블록 안의 코드를 한 번 실행

fun main() {
    var game = 1
    val match = 6
    do {
        println("${game}게임 이겼습니다. 우승까지 ${match - game}게임 남았습니다.")
        game++
    } while (game < match)
}    
/*
1게임 이겼습니다. 우승까지 5게임 남았습니다.
2게임 이겼습니다. 우승까지 4게임 남았습니다.
3게임 이겼습니다. 우승까지 3게임 남았습니다.
4게임 이겼습니다. 우승까지 2게임 남았습니다.
5게임 이겼습니다. 우승까지 1게임 남았습니다.
*/


3) while과 do ~ while의 차이점


👩🏻‍💻  가장 큰 차이점은 최초 값이 조건식을 만족하지 않았을 경우 실행 코드가 달라지는 것
👩🏻‍💻  do ~ while 은 조건과 상관없이 처음 한 번 로그가 출력

fun main() {
    game = 6
    while (game < match) {
        println("while 테스트입니다.")
        game++
    }

    // do ~ while 테스트
    game = 6
    do {
        println("do ~ while 테스트 입니다.")
        game++
    } while (game < match)
}
/*
do ~ while 테스트 입니다.
*/

 


2. 반복문 제어하기


👩🏻‍🚀  반복문이 실행되는 도중에 특정 조건에서 반복문을 벗어나거나 다음 반복문으로 넘어가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

1) break : 반복문 탈출하기


    👾  반복문 안에서 break를 만나면 반복문을 탈출할 수 있음
    👾  특정 조건에서 무조건 반복문 블록에서 벗어날 때 사용

fun main() {    
    for (index in 1..10) {
        println("현재 index는 ${index}입니다.")
        if (index > 5) { // index가 5보다 크면 break 명령어로 현재 반복문을 벗어남
            break
        }
    }
}

/*
현재 index는 1입니다.
현재 index는 2입니다.
현재 index는 3입니다.
현재 index는 4입니다.
현재 index는 5입니다.
현재 index는 6입니다.
*/

 



2)  continue : 다음 반복문으로


    👾  반복문 내에서 continue를 만나면 continue 다음 코드는 실행하지 않고  반복문의 코드의 처음으로 돌아감

fun main() {

    for (except in 1..10) {
        // except가 3보다 크고 8보다 작으면 continue 명령으로 로그를 찍지 않고 다음 반복문으로 이동
        if (except > 3 && except < 8) {
            continue
        }
        println("현재 index는 ${except}입니다.")
    }
}
/*
현재 index는 1입니다.
현재 index는 2입니다.
현재 index는 3입니다.
현재 index는 8입니다.
현재 index는 9입니다.
현재 index는 10입니다.
*/

 


응용 예제


   📌  while문과 Range.random() 메소드를 이용해서 2개의 주사위를 던졌을 때 나오는 눈을 (눈1, 눈2) 형태로 출력하고,
         눈의 합이 5가 아니면 계속 주사위를 던지고, 눈의 합이 5이면 실행을 멈추는 코드를 작성해 보세요.
         눈의 합이 5가 되는 조합은 (1, 4), (4, 1), (2, 3), (3, 2)입니다.
       예 ) (5, 1)
              (4, 4)
              (6, 5)
              (5, 2)
              (3, 6)
              (1, 2)
              (2, 3)

💡  Range.random() : 어떤 숫자 범위가 정의된 Range 객체의 random() 메소드를 호출하면 그 범위의 무작위 숫자가 리턴
fun main() {

    while (true) {
        val num1 = (1..6).random()
        val num2 = (1..6).random()
        println("($num1, $num2)")

        if (num1 + num2 == 5) {
            break;
        }
    }
    println()

    do {
        val num1 = (1..6).random()
        val num2 = (1..6).random()
        println("($num1, $num2)")

    } while (num1 + num2 != 5)

}

 


 
    📌  음수가 입력될 때까지, 사용자가 입력한 정수의 합계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while문을 사용, break 사용하지 말 것
          1) while문으로 작업
          2) do while문으로 작업

fun main() {

    var sum = 0
    var value = 0

    while (value >= 0) {
        sum += value
        print("정수를 입력하세요.")
        value = readln().toInt()
    }
    println("정수의 합계는 ${sum}입니다.")

    do {
        print("정수를 입력하세요.")
        val value = readln().toInt()
        if (value >= 0) {
            sum += value
        }
    } while (value >= 0)
    println("정수의 합계는 ${sum}입니다.")
}

 



    📌  컴퓨터가 주사위를 던지면 사용자가 주사위의 숫자를 맞히는 프로그램을 완성하세요.
          사용자가 맞힐 때까지 게임은 계속 됩니다.
          예)
          주사위 값은 얼마일까요? >>> 5
          오답입니다. 다시 시도하세요.
          주사위 값은 얼마일까요? >>> 1
          1! 정답입니다.
         

fun main() {

    // 1. break 사용
    val num = (1..6).random()
    while (true) {
        print("주사위 값은 얼마일까요? >>> ")
        var inputNum = readln().toInt();
        if (num == inputNum) {
            println("$inputNum! 정답입니다.")
            break
        } else {
            println("오답입니다. 다시 시도하세요.")
        }
    }

    println()

    // 2. break 사용 x
    val num2 = (1..6).random()
    do {
        print("주사위 값은 얼마일까요? >>> ")
        var inputNum = readln().toInt()
        if (num2 == inputNum) {
            println("$inputNum! 정답입니다.")
        } else {
            println("오답입니다. 다시 시도하세요.")
        }
    } while (num2 != inputNum)

}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

'Programming Language >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함수 function  (0) 2024.04.09
[Kotlin] 배열 Array  (0) 2024.04.08
[Kotlin] for 반복문  (0) 2024.04.05
[Kotlin] when 조건문, 범위 클래스  (1) 2024.04.05
[Kotlin] if 조건문  (0) 2024.04.05


1.  for 반복문

🐝  for 다음의 괄호 (()) 안에 반복할 범위를 지정하면 for 블록의 코드가 지정한 횟수만큼 반복해서 동작

for (반복할 범위) {    실행 코드    }

 



1) for in .. (온점 2개) : 일반적인 형태의 for 반복문


  🍯  시작값과 종료값으로 지정한 숫자 범위만큼 코드를 반복하는 일반적인 방법
  🍯  in을 사용해서 반복하는 범위의 숫자를 변수에 담아두고 사용

for (변수 in 시작값..종료값) {    실행 코드    }  
fun main() {
    // 1부터 10까지 열 번 반복하면서 그 숫자를 변수 index에 가장 먼저 저장하고, for 블록의 코드를 실행
    // 첫 번째 반복에서는 변수 index에 '1'이 저장되고, 두 번째 반복에서는 index에 '2'가 저장
    for (index in 1..10) {
        println("현재 숫자는 ${index}")
    }
}
/*
현재 숫자는 1
현재 숫자는 2
현재 숫자는 3
현재 숫자는 4
현재 숫자는 5
현재 숫자는 6
현재 숫자는 7
현재 숫자는 8
현재 숫자는 9
현재 숫자는 10
*/


2) until : 마지막 숫자 제외하기

 

  🍯  시작값과 종료값 사이의 .. 대신에 until을 사용하면 '종료값 이전'까지만 반복

  🍯  배열의 index가 항상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배열의 인덱스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코드에서 사용
         ➡️ 배열의 크기는 항상 '마지막 인덱스 + 1의 값'
         ➡️ 반복을 할 때 배열의 크기 바로 전까지만 반복

for (변수 in 시작값 until 종료값) {    실행 코드    }
fun main() {

    val array: Array<String> = arrayOf("JAN", "FEB", "MAR", "APR", "MAY", "JUN")
    for (index in 0 until array.size) {
        println("현재 월은 ${array[index]}입니다.")
    }
}
/*
현재 월은 JAN입니다.
현재 월은 FEB입니다.
현재 월은 MAR입니다.
현재 월은 APR입니다.
현재 월은 MAY입니다.
현재 월은 JUN입니다.
*/


 3) step : 건너뛰기


  🍯  1부터 100까지 반복하면서 3의 배수만 사용하고 싶을 때와 같은 상황에 사용
  🍯  step을 사용하면 for 문의 블록을 step 수만큼 건너뛰어서 실행

for (변수 in 시작값..종료값 step 3) {    실행 코드    }
fun main() {
    for (index in 0..100 step 3) {
        println("현재 숫자는 ${index}")
    }
}
/*
현재 숫자는 0
현재 숫자는 3
현재 숫자는 6
...
현재 숫자는 93
현재 숫자는 96
현재 숫자는 99
*/

 


4) downTo : 감소시키기


  🍯  .. 대신 downTo를 사용하면 큰 수에서 작은 수로 감소시키면서 실행할 수 있음

fun main() {

    for (index in 10 downTo 0) {    println("현재 숫자는 ${index}")    }   
    
    // 증가할 때와 같이 step을 사용할 수도 있음
    for (index in 10 downTo 0 step 3) {
        println("건너뛰면서 감소시키기: ${index}")
    }
}

/*
현재 숫자는 10
현재 숫자는 9
현재 숫자는 8
...
현재 숫자는 2
현재 숫자는 1
현재 숫자는 0

건너뛰면서 감소시키기: 10
건너뛰면서 감소시키기: 7
건너뛰면서 감소시키기: 4
건너뛰면서 감소시키기: 1
*/

 


5) 배열, 컬렉션에 들어 있는 엘리먼트 반복하기


  🍯  배열이나 컬렉션을 엘리먼트의 개수만큼 반복하면서 사용

  🍯  인덱스를 사용하는 방법보다 더 편하고 가독성이 좋음

for (변수 in 배열 또는 컬렉션) {    실행 코드    }    

 

fun main() {

    val arrayMonth = arrayOf("JAN", "FEB", "MAR", "APR", "MAY", "JUN")
    for (month in arrayMonth) {
        println("현재 월은 ${month}입니다.")
    }

    // withIndex() 함수를 이용하면 요소의 인덱스도 함께 가져올 수 있음
    val students = arrayOf("John", "Peter", "Jane")
    for ((index, name) in students.withIndex()) {
        println("Index: $index, Name: $name")
        // Index: 0, Name: John
        // Index: 1, Name: Peter
        // Index: 2, Name: Jane
    }
}

 


응용 예제
fun main() {
    /*
    2개의 주사위를 던지는 게임이 있다고 가정하자.
    중첩 for문을 이용하여 2개의 주사위의 합이 6이 되는 경우를 출력하는 코드 작성.
    (1, 5)
    (2, 4)
    (3, 3)
    (4, 2)
    (5, 1)
     */

    for (i in 1..6) {
        for (j in 6 downTo 1) {
            if (i+j == 6) {
                println("(${i}, ${j})")
            }
        }
    }

}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


1.  조건문 when

🐰  다른 언어의 switch문은 if문의 연산식에서 사용되는 비교 연산자 '==' 만 사용해서 같은 값인지를 비교
🐰  코틀린을 제외한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switch라는 이름으로 사용되며 선택문이라고 불리기도 함
🐰  코틀린의 when문은 다른 언어와는 다르게 같은 값뿐만 아니라 범위 값도 처리할 수 있고 사용 방법도 더 많음
       ➡️  특정 값을 선택할 수 있는 switch의 사용법에 if문의 범위 비교 기능이 더해진 if문의 확장판



1) 일반적인 형태의 when 사용하기


    ✏️  when 다음에 괄호 (()) 를 작성하고 괄호 안에는 주로 비교 대상 파라미터로 사용할 변수명을 입력
    ✏️  if에서처럼 괄호 다음에 중괄호 ({})를 사용해서 when 블록을 구분하고 블록 내부에서 비교할 값은

          화살표 연산자 Arrow Operator (->)를 사용해서 선택

when (파라미터) {
    비교값 -> {
            변수값이 비교값과 같다면 이 영역이 실행
     }
 }
    *  switch문과 비교하면 값을 비교하는 줄 앞의 case가 없어지고, 비교값 다음의 콜론이 화살표 연산자(->)로 대체
when (파라미터) {
    비교값1 -> {
            변수값이 비교값1과 같다면 이 영역이 실행.
    }
    비교값2 -> {
            변수값이 비교값1과 같다면 이 영역이 실행.
    }
    else -> {
            변수값이 앞에서 비교한 값들과 다르면 이 영역이 실행
    }
}
fun main() {

    val now = 10
    when(now) {
        8 -> {
            println("현재 시간은 8시 입니다.")
        }
        9 -> {
            println("현재 시간은 9시 입니다.")
        }
        else -> { // 위의 조건에 맞지 않으면 else 다음 코드가 실행
            println("현재 시간은 9시가 아닙니다.")
        }
    }
}


2) 콤마로 구분해서 when 사용하기


  ✏️  특정 값을 비교하는 데 결과 처리가 동일하다면 콤마(,)로 구분해서 한 번에 비교할 수 있음

fun main() {
    val time = 9
    when (time) {
        8, 9 -> {
            println("현재 시간은 8시 또는 9시입니다.")
        }
        else -> {
            println("현재 시간은 9시가 아닙니다.")
        }
    }
}


3) 범위 값을 비교하기


  ✏️  in을 사용해서 범위 값을 비교할 수 있음

fun main() {
    val ageOfMichael = 19
    when (ageOfMichael) {
        in 10..19 -> {
            println("마이클은 10대 입니다.")
        }
        !in 10..19 -> {
            println("마이클은 10대가 아닙니다.")
        }
        else -> {
            println("마이클의 나이를 알 수 없습니다.")
        }
    }
}


 4) 파라미터 없는 when 사용하기


  ✏️  when 다음에 오는 괄호를 생략하고 마치 if문처럼 사용할 수 있음

fun main() {

    val currentTime = 6
    when {
        currentTime == 5 -> {
            println("현재 시간은 5시입니다.")
        }
        currentTime > 5 -> {
            println("현재 시간은 5시가 넘었습니다.")
        }
        else -> {
            println("현재 시간은 5시 이전입니다.")
        }
    }
}

 


응용 예제
fun main() {
    /*
   사용자에게 성적을 입력받아
   When을 사용해서 학점을 출력하는 코드를 완성하세요.
   입력은 0 ~ 100까지 입력이 됩니다.
   * 기준
   A: 90 ~ 100
   B: 80 ~ 89
   C: 70 ~ 79
   D: 60 ~ 69
   F: 0 ~ 59

   예) 성적을 입력하세요 : 90
      입력하신 성적은 90점이고, 학점은 A입니다.
    */

    print("성적을 입력하세요 : ")
    val score = readln().trim().toInt()

    val grade = when (score) {
        in 90..100 -> {'A'}
        in 80..89 -> {'B'}
        in 70..79 -> {'C'}
        in 60..69 -> {'D'}
        else -> {'F'}
    }

    println("입력하신 성적은 ${score}점이고, 학점은 ${grade}입니다.")
}

 


2.  범위 클래스

🐰  코틀린을 이용하면 특정 범위의 값들을 간편하게 표현할 수 있음
    ⚡️ 범위 클래스로는 IntRange, LongRange, CharRange등이 있음
          예) IntRange 클래스를 사용해 1에서 5까지 숫자의 범위를 생성하는 코드

🐰  값 포함 여부를 확인할 때 '변수명.containts(값)' 사용

fun main() {

    val numRange: IntRange = 1..5
    println(numRange) // 1..5

    println(numRange.contains(3)) // true
    println(numRange.contains(10)) // false

    /*
    알파벳의 범위도 마찬가지. CharRange 클래스를 사용
     */
    val charRange: CharRange = 'a'..'e'
    println(charRange.contains('b')) // true
    println(charRange.contains('z')) // false
}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


1.  제어문

👩🏻‍💻  제어문 : 코드의 흐름을 조건에 따라 바꿀 수 있음
👩🏻‍💻  제어문에는 크게 조건문에 해당하는 if, when 그리고 반복문에 해당하는 for, while 이 있음


(1)  조건문  if


    ✏️   주어진 조건식의 결과값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코드르 실행할 것인지
           혹은 다른 코드를 실행할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문법

  1) if문을 사용하기 위한 조건


      -  if문의 조건식에는 비교 연산자(==, <, >)와 논리 연산자(&&, ||)를 사용한 조건식만 사용 가능
      -  조건식의 결과는 Boolean 타입인 true 참과 false 거짓


  2) 기본적인 if문 사용하기

if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일 경우 실행되는 코드 영역
 } 
    *  코드 블럭 code block. 코드 스코프 code scope : 코드 중간의 여는 중괄호 {로 시작해 닫는 괄호 } 까지
fun main() {
  
    var out = 0
    var strike = 3
    if (strike > 2) {
        out = out + 1
    }
    println("out: $out") // out: 1
    
}


  3) if~else 문 사용하기

if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일 경우 실행되는 코드 영역
} else {
        조건식이 거짓일 경우 실행되는 코드 영역
}    
fun main() {
    var ball = 4
    if (ball > 3) {
        println("4볼로 출루합니다.") // 4볼로 출루합니다.
    } else {
        println("타석에서 다음 타구를 기다립니다.")
    }
}

 



    4) else if 문

 if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일 경우 실행되는 코드 영역
 } else if (조건식 2) {
        조건식 1 결과가 거짓이고 조건식 2 결과가 참일 경우 실행되는 코드 영역
} else {
        조건식1, 조건식2 모두 거짓일 경우 실행되는 코드 영역
}


  5) 변수에 직접 if문 사용하기


      -  if문의 조건식 결과를 변수에 대입할 수 있음

fun main () { 
    var a = 5
    var b = 3
    var bigger = if (a > b) a else b
    println("bigger: $bigger")  // 5
}


  6) if문의 마지막 값을 반환값으로 사용하기


    -  위의 코드와 같은데 if문의 코드 영역이 여러 줄일 경우에도 마지막 줄을 변수값으로 사용할 수 있음

fun main() {

    bigger = if (a>b) {
        var c = 30
        a // 마지막 줄의 a 값이 bigger에 저장
    } else {
        b
    }
    println("bigger: $bigger") // 5

    /*
    다음과 같이 'if문을 활용하여 변수에 값을 할당할 수 있음.'
    '값을 할당해야 하므로 반드시 else문이 필요'
     */
    val myAge = 20
    val isAdult = if (myAge > 20) true else false

    println("성인 여부 : $isAdult") // 성인 여부 : false
}

응용 예제
fun main() {
    /*
    사용자에게 성적을 입력받아
    if문을 사용해서 학점을 출력하는 코드를 완성하세요.
    입력은 0 ~ 100까지 입력이 됩니다.
    * 기준
    A: 90 ~ 100
    B: 80 ~ 89
    C: 70 ~ 79
    D: 60 ~ 69
    F: 0 ~ 59

    예) 성적을 입력하세요 : 81
       학점 B
     */

    print("성적을 입력하세요 : ")
    val scanner = Scanner(System.`in`)
    val score = readln().toInt()

    if (score >= 90) print("학점 A")
    else if (score >= 80) print("학점 B")
    else if (score >= 70) print("학점 C")
    else if (score >= 60) print("학점 D")
    else print("학점 F")
}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


1.  자료형 변환

🐝  코틀린에서는 자료형이 다른 변수에 재할당하면 자동 형 변환이 되지 않고 자료형 불일치 오류 Type Mismatch 발생
        ➡️  의도하지 않게 자료형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

fun main() {
    val a: Int = 1
    // val b: Double = a // 자료형 불일치 오류 발생. 자바와 차이점.
    // val c: Int = 1.1 // 자료형 불일치 오류 발생
}

 

    🍯  변수 a는 Int 형이므로 Double 형 변수 b에 다시 할당할 수 없음
    🍯  만일 자료형을 변환해 할당하고 싶다면 코틀린에서는 자료형 변환 메서드를 이용
            ex. Int ▶️ Double :  toDouble() 메서드를 이용

fun main() {
    val b: Double = a.toDouble()
    println("a=$a, b=$b") // a = 1, b = 1.0
}

자료형이 서로 다른 값을 연산하면, 자료형이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큰 자료형으로 자동 형변환하여 연산
fun main() {

    val result = b + a
    println("result = $result") // result = 2.0

}

 


2.  기본형과 참조형의 비교 원리

🐝   자료형을 비교할 때는 단순히 값만 비교하는 방법 vs 참조 주소까지 비교하는 방법
🐝   단순히 값만 비교할 때는 이중 등호(==)를 사용하고, 참조 주소를 비교하려면 삼중 등호(===)를 사용

이중 등호는 참조와 상관없이 값이 동일하면 true를, 값이 다르면 false를 반환
삼중 등호값과 상관없이 참조가 동일하면 true를 반환, 값이 동일하더라도 참조 주소가 다르면 false를 반환

 

다음은 Int 형으로 선언한 변수 a, b에 128을 대입하고 이중 등호와 삼중 등호로 비교한 것
    비교 결과는 모두 true. 이 때 참조형으로 선언된 a와 b는 코틀린 컴파일러가 기본형으로 변환하여 저장
    즉, 여기서는 삼중 등호가 비교하는 값도 저장된 값인 128.
fun main() {

    val a: Int = 128
    val b: Int = 128
    println(a == b) // true
    println(a === b) // true

}

참조 주소가 달라지는 경우는 null을 허용한 변수
    null을 허용한 변수는 같은 값을 저장해도 이중 등호와 삼중 등호를 사용한 결과값이 다름 
fun main() {  

    val c: Int? = 128
    val d: Int? = 128
    println(c == d) // true
    println(c === d)  // false
    
}

3.  스마트 캐스트 알아보기

🐝  만약 어떤 값이 정수일 수도 있고, 실수일 수도 있는 경우에는 그때마다 자료형을 변환해도 되지만
     '스마트 캐스트'를 사용할 수 있음
🐝  스마트 캐스트 Smart Cast컴파일러가 자동으로 형 변환

    ⚡️  대표적으로 스마트 캐스트가 적용되는 자료형은 Number형이 있음
    ⚡️  Number형을 사용하면 숫자를 저장하기 위한 특수한 자료형 객체를 만듦
    ⚡️  Number형으로 정의된 변수에는 저장되는 값에 따라 정수형이나 실수형 등으로 자료형이 변환됨

fun main() {

    var test: Number = 12.2 // 12.2에 의해 test는 Float형으로 스마트 캐스트
    println("$test") // 12.2

    test = 12 // Int 형으로 스마트 캐스트
    println("$test") // 12

    test = 120L // Long형으로 스마트 캐스트
    println("$test") // 120

    test += 12.0f // Float형으로 스마트 캐스트
    println("$test") // 132.0
    
}

4.  자료형 검사하기

🐝  변수의 자료형을 알아낼떄는 is 키워드를 사용
🐝   is는 왼쪽 항의 변수가 오른쪽 항의 자료형과 같으면 true를, 아니면 false를 반환
🐝   is는 변수의 자료형을 검사한 다음 그 변수를 해당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기능도 있음

   

    ⚡️ Any형을 사용하면 자료형을 결정하지 않은 채로 변수를 선언할 수 있음
    ⚡️ Any형은 코틀린의 최상위 기본 클래스로 어떤 자료형이라도 될 수 있는 특수한 자료형
    ⚡️ 이때 is를 사용하여 자료형을 검사하면 검사한 자료형으로 스마트 캐스트

fun main() {

    var num = 256

    if (num is Int) { // num의 자료형이 Int라면 실행.
        println(num) // 256
    } else if (num !is Int) {
        println("No an Int")
    }

    val x: Any
    x = "Hello"
    if (x is String) {
        println(x.length) // 5
    }
    /*
    변수 x는 Any형으로 선언. 그 후에 "Hello"라는 값을 대입. 아직 x의 자료형은 Any형.
    이후 if문으로 is로 x의 자료형을 검사할 때 String으로 스마트 캐스트되어 조건문이 실행.
     */

}

 


5.  묵시적 형변환

🐝  코틀린의 모든 클래스는 Any형이라는 슈퍼클래스(Superclass)를 가짐
🐝  Any는 자바의 최상위 클래스인 Object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유형
🐝  Any 형은 무엇이든 될 수 있기 때문에 언제든 필요한 자료형으로 자동변환할 수 있음
        ➡️  이것을 묵시적 변환이라고 함

fun main() {

    var a: Any = 1  // Any형 a는 1로 초기화 될 때 Int형이 됨.
    a = "one" // Int형이었던 a는 변경된 값에 의해 String이 됨.
    println("a: $a type: ${a.javaClass}") // 자바의 기본형을 출력하면 String이 나옴
    // 띄어씌기가 있으면 중괄호 생략 가능
    // a: one type: class java.lang.String

    checkArg("Hello") // x is String: Hello
    checkArg(5) // x is Int: 5
}

fun checkArg(x: Any) { // 인자를 Any형으로 받음
    if (x is String) {
        println("x is String: $x")
    }

    if (x is Int) {
        println("x is Int: $x")
    }

}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


1.  코틀린의 특징

👩🏻‍🚀  안드로이드의 개발 환경은 Java 언어를 중심으로 확장되어 있는데, 새로운 개발 언어를 도입함

👩🏻‍🚀  Kotlin 코틀린은 2017년 안드로이드 공식 개발 언어로 지정
      ▶️ 구글이 코틀린을 안드로이드 공식 언어로 지정한 이유는 코틀린이 현대적인 언어로서 갖는 장점들 때문

👩🏻‍🚀  코틀린은 유명 IDE 제작사인 JetBrain이 만든 언어로, 같은 회사에서 만든 Intellij와 Android Studio IDE에서

       매우 잘 지원되는 언어


1) 코틀린의 장점


코틀린은 자바와 100% 상호 호환되면서도 더 현대적이고 간결 

      ▶️  자바와 코틀린 코드를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섞어서 사용할 수 있음
-  Null Pointer Exception이 발생할 수 있는 코드를 금지하고 Null에 대해 안전한 코드를 간결하게 표현 할 수 있도록 지원
'타입 추론'을 지원

      ▶️  정적 타입 지정 언어가 가진 정확성과 성능을 보장하면서도 동적 타입 언어와 같은 간결함을 유지할 수 있음
'람다 표현식'을 지원  ▶️  코틀린의 람다 표현식은 자바8부터 지원되는 람다 표현식보다 더 간결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스타일을 모두 지원
-  코틀린의 '확장 함수'는 기존 클래스의 변경없이 클래스의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
-  코틀린은 이미 널리 쓰이는 '코드 패턴을 간결화할 수 있도록 설계'
      ▶️ 예를 들면 'getter', 'setter'를 묵시적으로 제공하고 자주 쓰이는 'Singleton 패턴'은 'object'로서 지원
-  코틀린의 함수는 '일급 객체'로서 다른 함수의 파라미터로 전달 가능하고 함수의 반환값을 함수 형태로 반환할 수 있어

    '높은 추상화'가 가능
-  코틀린은 '불변성을 보장하는 변수'와 '변경이 가능한 변수'를 언어 차원에서 분리
       ▶️  불변값을 갖는 변수의 사용은 '다중 쓰레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보다 유용

 


2.  변수

👩🏻‍🚀  코틀린은 변수명을 먼저 쓰고, 콜론 : 을 쓴 후 자료형을 명시

👩🏻‍🚀  문맥상 추론이 가능하다면 자료명을 생략할 수 있음 ▶️ 코틀린의 형추론이라고 함

👩🏻‍🚀  변수명만 쓸 때는 자료형을 적어줘야 함

💡  val 변수명: 자료형 = 값
fun main() {

    val pi: Double = 3.14

    val name = "tom" // String 으로 형 추론.

    // val은 값을 변경할 수 없는 변수이므로 값을 재할당 하면 다음과 같이 컴파일 오류가 남
    // pi = 3.141593 // 오류 Val cannot be reassigned

    // 값을 변경하고 싶을 때는 var을 사용해야 됨. var로 정의된 변수는 값을 바꿀 수 있음
    var age = 21 // 형추론 Int
    println(age)  // 21
    age = 25 // 재할당
    println(age) // 25
}

 

1)  변수와 자료형


  👾  변수는 val, var 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선언
        ⚡️  val로 변수를 선언하면 최초로 지정한 변수의 값으로 초기화하고 더 이상 바꿀 수 없는 '읽기 전용 변수'가 됨
        ⚡️  var로 변수를 선언하면 최초로 지정한 변수의 초깃값이 있더라도 '값을 바꿀 수 있음'

💡  변수를 선언한 예 :
       val username: String = "kildong"
       ➡️  변경되지 않는 변수 username이 String 자료형으로 선언되었고 "kildong"이 값으로 할당

 

  👾  코틀린은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고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에 할당된 값("kildong")을 보고 알아서 자료형을 지정할 수 있음

         ▶️  이것을 '자료형 추론'이라고 함
         ▶️  즉 username 변수에 "kildong"이라는 값만 할당해도 코틀린이 알아서 이 변수의 자료형을 String으로 지정
  👾  단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은 변수는 반드시 자료형을 추론할 값을 지정해야 함
  👾  선언만 하고 초기화를 하지 않을 때는 반드시 자료형을 적어줘야 함

fun main() {
    val number = 10 // number 변수는 Int 형으로 추론
    var language = "Korean" // language 변수는 String으롤 추론.
    language = "English" //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값을 다시 할당할 수 있음
    // language = 10 // 파이썬처럼 다른 데이터 타입의 데이터는 저장할 수 없음.
    val secondNumber: Int = 20 // secondNumber 변수는 자료형을 Int로 명시적으로 지정.
    // secondNumber = 30 // val로 선언한 변수를 값을 다시 할당할 수 없음.

    println("number: $number") // 10
    println("language: $language") // English
    println("secondNumber: $secondNumber") // 20
}

 


3.  기본 자료형

👩🏻‍🚀  자료형은 크게 기본 자료형 primitive data type참조 자료형 reference data type으로 나누어 진다.
      ⚡️ 기본형은 순수하게 값을 저장하는 자료형이고 자바에서는 int, byte, boolean 등이 해당
      ⚡️ 참조형은 객체를 만들고 변수에는 객체의 참조값을 저장하고 자바에서는 String, Array 등이 해당

👩🏻‍🚀  코틀린의 자료형은 모두 참조형. 즉 모든 자료형이 객체 형태



(1) 정수 자료형  -  Byte, Short, Int, Long


   👾
  코틀린은 정수의 경우에는 숫자가 작아도 Int 형으로 추론 (기본값)

          ➡️  Byte나 Short 같은 작은 범위를 사용할 때는 자료형을 지정해야 함
 
   1)  Int : 정수


      📍  소수점이 없는 정수값을 지정할 때 사용
      📍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언더바(_)로 자릿수를 구분할 수 있음
      📍  다만, 언더바는 개발자가 읽기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는 동일하게 인식

fun main() {    
    var intValue: Int
    intValue = 3
    intValue = 2_147_483_435
}

 


  2) Long : 정수


     📍  Int 보다 큰 범위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음
     📍  Double과 Float의 관계처럼 Int와 구분하기 위해서 숫자의 끝에 L을 붙여줌
     📍  Long 타입의 경우에는 설정한 글꼴에 따라 숫자가 1과 구분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대문자를 사용

fun main() {
    var longValue = 3_141592L
}

 


  3) Short와 Byte : 정수


    📍 정숫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데 입력할 수 있는 값의 크기가 Int보다 작음

fun main() {
    var shortValue: Short = 32_767
    var byteValue: Byte = 127
}

 


(2)  실수 자료형 - Double, Float


  👾  실수의 경우 자료형을 명시하지 않으면 Double 형이 됨 (기본값)

  👾  Float 형으로 지정하고 싶다면 값뒤에 F를 추가로 붙여줌

fun main() {
    val numFloat: Float = 100.0F // 자료형 생략 가능
    val numDouble: Double = 100.0 // 자료형 생략 가능
}


  1) Double : 실수 - 소수점이 있는 값을 저장할 때 사용

fun main() {
    var doubleValue: Double
    doubleValue = 3.141592
}


  2) Float : 실수


    📍 Double과 동일한 용도이지만 더 작은 범위의 숫자를 저장할 때 사용
    📍 Double과 구분하기 위해 Float의 경우 숫자 끝에 'F'를 붙여줌

fun main() {   
    var floatValue: Float
    floatValue = 3.141592F
}

 


(3) 문자 자료형


    👾  문자 자료형은 문자 하나를 표현하는 Char형과 문자열을 표현하는 String형으로 분류
    👾  Char 형은 문자를 작은 따옴표로 감싸고, String형은 문자열을 큰 따옴표로 감쌈

fun main() {
    val char: Char = 'a' // 자료형 생략 가능
    val string: String = "abc" // 자료형 생략 가능
}

(4) 논리 자료형


   👾  참, 거짓을 표현하는 true, false 를 사용하고 주로 조건 검사에 사용

fun main() {
    val isTrue: Boolean = true // 자료형 생략 가능
}

 


4.  상수  const

👩🏻‍🚀  상수는 주로 기준이 되는 변하지 않는 값을 입력해 둘 때 사용

👩🏻‍🚀  읽기 전용 변수인 val 앞에 const 키워드를 붙여서 만듦. 전역으로만 사용가능

💡  val과 같이 읽기 전용인 것은 동일하지만, 컴파일 시에 값이 결정되기 때문에 Int, Long과 같은 기본형과 문자열인 String만 입력할 수 있음
const val PI = 3.141592653589793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