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리스트  list

 

🚀  사전적 의미는 '목록'이며 파이썬에서 리스트 의미는 여러가지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

🚀  저장하고자 하는 값들의 자료형(type)이 서로 다르더라도 하나의 리스트에 저장

 

  ⚡️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 : 대괄호 []에 자료를 쉼표로 구분해서 입력 또는 리스트 함수 list() 를 이용해서 생성

  ⚡️  대괄호 내부에 넣는 자료를 요소 element 라고 한다

[요소, 요소, 요소...]

 

# 정수, 실수, 문자열을 각 1개씩 저장하고 있는 리스트 생성
li = [100, 3.14, 'hello']
print(li)  # [100, 3.14, 'hello']
print(type(li))  # <class 'list'>

 

 

100 3.14 hello

                   [0]                                       [1]                                       [2]

                   [-3]                                     [-2]                                     [-1]

 

  👾  각각의 요소는 위와 같은 형태로 저장 된다.

  👾  대괄호 [] 안에 들어간 숫자를 인덱스 index라 부르며, 0부터 센다.

  👾  뒤에서부터 문자를 선택할 때 0이아닌 -1부터 센다

 


 

💡 리스트 접근 연산자를 이중으로 사용하는 방법

list = [333, 7, 'hello', True]
list[2]  # hello
list[2][0]  # h

 

👾  list [2]를 지정하면 'hello'를 꺼내오고 list[2][0] 이면 'hello'에서 다시 0번째를 가져와 출력

 


 

💡  리스트 안에 리스트 사용 가능

list = [[1,2,3], [4,5,6], [7,8,9]]
list[1]  # [4,5,6]
list[1][1]  # [5]

 


 

2. 리스트 연산하기: 연결(+), 반복(*), len()

 

🚀  문자열과 리스트는 비슷한 자료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와 함수도 비슷함

# 리스트 선언
list_a = [1,2,3]
list_b = [4,5,6]

# 출력
print("list_a = ", list_a)
print("list_b = ", list_b)
print()

# 기본 연산자
print("list_a + list_b = ", list_a + list_b)  # 자료 연결
print("list_a * 3 = ", list_a * 3)  # 자료 반복
print()

# 함수
print("len(list_a) = ", len(list_a))

실행 결과

 


 

3. 리스트 정렬: sort(), sorted(), reverse = True

 

🚀  sort(), sorted()는 리스트 요소를 정렬할 때 쓰는 함수로 기본 오름차순 정렬이다

🚀  reverse = True 옵션을 추가할 경우 내림차순 정렬로 반환

리스트.sort()  # 원본이 정렬됨
sorted(리스트명)  # 원본이 정렬된 것 x

 

list_a = [33, 100, 1, 6, 29]
list_a.sort()  # 오름차순 정렬
print(list_a)  # [1, 6, 29, 33, 100]

 

my_list2 = ['b', 'c', 'a', 'd']
print(sorted(my_list2))  # ['a', 'b', 'c', 'd']
print(sorted(my_list2, reverse=True))  # ['d', 'c', 'b', 'a']

my_list = [6, 3, 1, 2, 5, 4]
print(sorted(my_list))  # [1, 2, 3, 4, 5, 6]
print(sorted(my_list, reverse=False))  # [1, 2, 3, 4, 5, 6]
print(sorted(my_list, reverse=True))  # [6, 5, 4, 3, 2, 1]

print(sorted(my_list))  # [1, 2, 3, 4, 5, 6]
print(my_list)  # [6, 3, 1, 2, 5, 4] / 실제로 정렬이 된건 아님

my_list = sorted(my_list)  # 오름차순 정렬 결과를 덮어쓰기
print(my_list)  # [1, 2, 3, 4, 5, 6]

 


 

4. 리스트 내부에 있는지 확인: in/not in 연산자

 

🚀  특정 값이 리스트 내부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in 연산자 사용

🚀  리스트 내부에 값이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를 출력

🚀  not in 연산자는 리스트 내부에 해당 값이 없는지 확인하는 연산자

 

값 in 리스트
list_a = [273, 33, 100, 51, 99]
273 in list_a  # True
98 in list_a  # False

273 not in list_a  # False
98 not in list_a  # True

 

 

 

 

 

[ 내용 참고 : IT 학원 강의 자료 및 책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

+ Recent posts